연구결과 두 사람은 직관이나 정밀한 분석에 의한 의사결정보다 ‘프로세스‘를 활용한 선택이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의사결정 프로세스란 선택을 할 때 꼭 염두에 두어야 할 항목들을 정해놓고 그 과정을 그대로 밟는 것을 의미한다. - P159

그래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1) 인식론적 겸손을 갖췄는가?
2) 선택안은 정말 충분한가?
3) 검증의 과정은 거쳤는가?
4) 경쟁자를 생각했는가?
5) 최악의 시나리오를 그리고 대비했는가? - P1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무적 사고는 돈을 잘 버는 생각이지 돈에 매몰된 생각을 뜻하지 않는다. 장기적 안목을 갖고 돈을 벌 수 있는 전략을 짜는 것이 중요하다. 자칫 단기적 이익에만 초점을 맞출 경우 돌이키기 힘든 손실을 볼 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맥락적 사고는 모순되거나 대립되는 요소가 상황에 따라 혹은 균형감 있게 양립 가능하다는 생각을 하는 것이다.
맥락적 사고를 하는 것은 정말 쉽지 않다. 먼저 관련 사항에 대한 깊은지식이 있어야 하고 또한 모순적인 요소를 품어야 하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 선입견, 신념 등을 냉정하게 다스릴 줄도 알아야 한다. - P1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래서 탁월한 통계적 사고를 구축하기 위한 첫 번째는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구분하는 것이다. 또한 유의미한 상관관계와 무의미한 상관관계를 살펴볼 줄 알아야 한다.
당신이 빠지지 말아야 할 두 번째 통계적 함정은 ‘독립성을 혼동하는경우다. 동전 던지기는 매번 독립적이다. - P1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타 인지가 높으면 자신의 약점과 강점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약점을 보완하고 강점을 강화시키는 전략을 더 잘 만들 수 있다. - P92

반성적 사고를 높이기 위해서 당신이 해야 할 첫 번째 과제는 ‘기록‘이다. 우리는 개인에게는 Daily Report"를, 조직에게는 After Action Review-AP를 추천한다. - P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