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도 자신과 똑같은 고귀한 신념에 의해 움직인다. 그런데 문제는 만약 타인에 대한 믿음이 없다면, 말과 행동으로 통해 타인이 이타주의적인 행동을 하게 할 수 있음에도 그것을 차단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결국 우리 모두가 이기적 이타주의자가 될 수 있음을 믿을 때, 이는 자기실현적 예언이 되어 살맛나는 공동체가 될 수 있다.
바로 당신이 만들 수 있다. - P518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eathermomnt 2021-10-04 12: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 내가 이걸 메모해놓고도 불신의 마음으로 살아왔네..고쳐야지
 

하지만 매우 놀라운 사실은 성공적인 기버들은 자신의 이익에도 상당한 동기 부여를 받았다는 점이다. 권력이나 성취와 관련된 목표가 비교집단보다 2배 가까이 높았으며, 인생 목표 목록을 만들 때에도 명성을 얻고 개인적인 성취를 이루는 것과 관련된 내용이 비교집단보다 20%나 더 많았다. 즉, 성공적인 기버들은 엄청난 야심가였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특히 실패를 경험했을 때, 성장형은 실패를 성장의 과정으로 생각하는 반면 고정형은 자아의 위협을 느끼는 경향이 강하다. 스스로가 성장할 수 있는 사람임을 믿는 것이 중요하다. - P486

3) 기억 : 책을 그냥 반복적으로 읽거나 강의만 듣는 것은 하수의 전형적인 공부법이다. 이렇게 정보만 인풋하는 방식으로 공부를 하면 장기기억으로 잘 전환되지 않는다. 연습문제 풀기, 요약하기, 글쓰기, 토론하기, 발표하기, 강의하기, 통째로 암송하기 등 배운 것을 바깥으로 표출하는 아웃풋 방식으로 어렵게 공부해야 장기기억으로 간다. 뇌의 메커니즘이 그렇다. 쉽게 학습하면 쉽게 잊고, 어렵게 학습하면 잊기가 어렵다는 사실을꼭 알아두자. - P4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 또한 마찬가지다. 만성적 스트레스에 의한 코르티솔의 과다 분비가 지속된다면 인지 활동을 하는 뇌는 치명적인 손상을 입고, 감정적 반응을 감당하는 뇌는 더 커져버리게 되면서, 문제해결 능력 저하, 이성적 판단마비, 감정의 극심한 기복을 겪게 되는 것이다. - P3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보 수용자의 기대치와 기준점에서 얼마나 파격적으로 벗어났는지가 중요하다. 정보 제공자가 아무리 유용한 정보라고 생각해도 정보 수용자의 기대치가 높다면 입소문은 나지않는다. 기대치를 최대한으로 뛰어넘고 기준점과 최대한 괴리시키는 파격이 있을 때 정보 수용자는 높은 실용적 가치를 느끼게 된다. 그리고 그 실용성이 좋은 마음을 갖고 온-오프 지인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우리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입소문을 내게 만드는 것이다. - P3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