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홍수 - 에릭 드루커의 다른만화 시리즈 4
에릭 드루커 지음, 김한청 옮김 / 다른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소외.


 책『대홍수』가 표현한 것은 소외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거대 도시 뉴욕은 인간 소외의 거대한 표본이다. 가진 것이 없는 자들이나 힘과 권력이 없는 자들은 도시의 맨 아랫부분에 소외되어 있다. 그들은 집안에서도 소외됐고, 집 밖 도시에서도 소외되어 있다. 작가 에릭 드루커의 그림은 현대 문명 속에서 소외된 인간의 모습을 기막히게 표현한다. 거친 스크래치로 표현된 인간들, 뼈가 훤히 보이는 인간들, 눅눅하고 축축하고 어둡기 만한 얼굴들과 도시 풍경들. 처진 어깨에 고개 숙인 타락한 군상. 드루커의 그림에서 인간과 도시는 소외라는 공통된 쓸쓸함 젖어 있었고 그는 이런 현실을 스크래치 하여 그림으로 표현했다.

기술이 진보하여 다양한 미디어가 속출하고, 개인 휴대 단말기들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현실. 하지만 그렇듯 발달된 현실에서 누군가와 소통하는 것이 과거 보다 훨씬 어려워졌다는 역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기술적 진보는 인간의 이성적 진보를 가로막는 것일까? 아니면 인간이라는 존재자체가 기술의 목적이 되어 인간의 순수함이 완전히 사라진 것일까? 드루커의 그림에서 보이는 엑스레이 양식(뼈가 드러나 보이도록 사람들을 투명하게 그리는 양식)때문인지 몰라도 책을 보는 내내 그가 표현한 뼈를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을 고민해 보았다. 결국 인간의 본질이 파괴되면 문명도 파괴되는 것인지 모를 일이지만 대홍수로 인해 뉴욕이 잠기는 드루커의 그림은 의미심장하다.

 소외된 인간들이 살아가는 사회는 영혼이 없는 인간들의 공간이 될 것이다. 드루커는 자신의 그림에서 문자를 배제시켰다. 소통과 대화가 사라진 현대인의 비인간적 공간 즉 도시. 드루커는 그림에서 글자와 소통이 사라진 대도시 뉴욕을 표현하고 있었다. 소외된 인간이 가득한 도시를 말이다. 그리고 그는 도시를 파멸시킨다. 대홍수로 말이다. 신이 존재한다면 세상을 깨끗이 하기 위해 인간들에게 분명 거대한 홍수를 내리리라는 확신을 갖고 말이다.

 몇 달 전 도스또옙스키의 「죄와 벌」을 읽었다. 이성과 합리성으로 무장한 도끼 살인자 라스꼴리니꼬프는 문명의 진보가 만들어낸 희생양이었다. 「죄와 벌」이 문자를 통해 말해주는 교훈은 드루커의 『대홍수』가 그림을 통해 보여주는 교훈과 다르지 않다. 이성과 합리성을 통한 기술의 진보가 만들어 낸 문명. 그리고 그 문명이 만든 인간 소외는 결국 파국에 이른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해 합리성이 만든 변증법의 세상을 뒤로 하고 우리는 진지한 인간 본연의 삶을 고민해야 한다. 드루커의 그림 곳곳에서 발견되는 과거 오래된 문명의 흔적들, 이누이트들, 다양한 고대 형상들은 문명이 만들어 내는 참혹한 소외에 대한 강력한 경고이다.

 그림이라는 소통 장치는 다양한 이야기들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매혹적이다. 하지만 짧디 짧은 나의 얇은 지식으로 드루커의 작품에서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은 진보의 비인간성과 소외 그리고 파국이었다. 인간의 삶을 진지하게 고민하는 시간이 많아진다면 현대 문명이 만들어 낸 많은 문제들도 해결 할 수 있다는 희망을 나는 이야기 하고 싶다. 뼈로 상징되는 인간의 본질에 대한 고민이야 말로 소외된 이 시대 모든 사람들을 구원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