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1Q84 3 - 10月-12月 1Q84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이다 소설을 받아보는게 이토록 기쁜 일인지

 

처음이다 소설을 밤새도록 읽으면서 결국 책장을 다 덮게 만드는 것이

 

덴고와 아오마메 이 두 사람의 만남과 사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끝이 난  

1Q84의 속편인 3권이 나왔다

 

내가 이 소설을 읽으면서 그동안 하루키 소설의 전작에 대한 아쉬운 점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작년 1Q84를 결말을 다 읽고 난 후  이 소설에 대한 가장 아쉬운 점이자 

하루키의 전작에서도 주인공의 사랑이 이루어지지 못하면서도

대부분의 결말은 독자의 상상에 맞기면서 끝나는 점이었다.

하지만 다르게 본다면 하루키의 소설의 또 다른 매력이라고 생각하지만

이 소설을 결말을 읽고 나서 생각이 달라졌다. 

하지만 독자의 상상으로 맞기에는 뭔가의 아쉬움과 풀리지 않는 의문점 그리고

한편으로는 두 주인공의 만남을 원하는 독자들이 바램이 결국 작가를 움직이게 한계 아닌가?

이런 생각으로 3권을 읽기 시작했다

 

이번 3권은 1,2권의 지닌 몰입감을 그대로이면서 또 다른 재미를 추가했다,

그건 바로 제 3의 인물인 우시카와의 추가적인 시점이다

1,2권이 덴고와 아오마메 시점으로 교차하면서 장대한 이야기를 진행한다면

3권은 덴고와 아오마메 그리고 이 두 사람을 찾는 탐정 우시카와

이 세 사람의 교차진행이 진행하기 시작하면서 점차적으로 이야기 구조는 

 

더욱 더 흥미롭게 된 것이다,



여기서 우시카와는 이 소설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1,2권을 읽은 독자한테 다시 한 번 전작에 대한 이야기를 다시 한 번 환기시키주면서

결국 덴고와 아오마메을 만남을 만들어 주게 되며

그로인해서 복잡해 질수 밖에 없는 이야기 구조를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소설에서도 2% 부족한 점은

덴고의 어머니 왜 사라졋는가? 그리고 아오마메가 잉태한 아이는 과연 누구의 아이인가?

또한 두 주인공이 넘어온 세계는 과연 현실인가? 아니면 또 다른 세계인가?

이러한 의문을 남기면서 이 소설은 끝이 나지만

 

덴고와 아오마메의 만남을 통해 큰 기쁨과 감동 그리고 다시 한 번 후속작이

나오길 기다리는 설레임을 갖고 책을 덮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춘이라는 단어가 들어만 봐도 좋은 시절
하지만 그런 청춘의 시절에 사랑에 대한 아픔과
소중한 사람을 상실한 아픔이 어느 때보다 더 아픈 시절이기도 한 청춘
그 청춘의 아픈 시절이 지나서 지금 살아가는 우리한테
갑작스럽지만 한편으로는 반갑게 느껴지는 전화벨이 울린다면
우리는 과연 그 청춘을 기억할 수 있을까?

소설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는 이런 질문 하면서 시작한다
주인공인 윤은 어느 날 자신의 은사인 윤 교수의 임종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정윤의 전화의 목소리에 그녀는 8년 전의 자신의 청춘시절을 회상한다.

윤한태 "인생의 맨 끝에서 청춘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할 떄가 있어" 이 말처럼
청춘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좋아한다고 당당히 고백하고 그녀를 사랑한 정윤
나는 정윤한태 공감할 수 밖에 없는건 청춘에 대한 자신의 생각도 없었던 나한테
청춘이라는 단어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들었고
"왜 누군가를 좋아하는 일은 기쁨이지만은 않을까 왜 슬픔이고 절망이기도 할까?"
이 구절처럼 한때 나도 누군가를 좋아한 적이 있었고 그 사람을 볼 수 있다는 것이 기쁨이었지만
한편으로는 그 사람한태 고백하는 것이 힘들고 슬펐고 정윤이 한편으로는 부럽기도 했다.

또한 소중한 사람을 잃은 상실감에 대한 아픔을 서로서로 공유하면서
윤과의 우정을 이어나간 미루와 정윤 못지 않게 그녀를 사랑했던
고향친구인 단이 하지만 이 두 사람의 상실로 인해 그녀는 힘 들어가지만
윤 교수 사임하고 난 후 정윤과 같이 윤 교수 댁에 찾아가
눈 내리는 밤눈에 쌓였던 노송을 털어내는 윤의 모습을 보면서
쌓였던 눈을 털어내지 못하면 노송의 가지를 부러지는 거 같이
마음에 쌓인 상실감과 아픔을 털어내지 못하면 결국 돌이킬 수 없는 행동을 할 거 같아
그래서 그녀는 정윤이 말릴 정도로 털어낸 거 같았고  

윤 교수는 윤의 그런 마음을 이해한 거 같았다.

그녀의 아픈 청춘 시절의 회상이 끝나고 지금의 그녀는 이러한 아픔을 서서히 이겨낸다
그리고 정윤이 윤한테 준 자신의 생각이 담긴 갈색노트의 마지막에
내.가.그,쪽.으.로.갈.게 이 문장 쓴 건 어쩌면 그녀가 다시 한번 청춘의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는 것을 말해주는 건 아닐까?

그러면서 지금 나는 청춘의 절반에 와 있고 절반이 오는 동안 아프고 힘들었지만,  

그 남은 절반의 청춘 누군가의 빛이 되면서 청춘을 보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숨그네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31
헤르타 뮐러 지음, 박경희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작을 처음으로 접한 작품이었다.
접하기 전까지 나는 노벨문학상 수상작을 읽어야지 하면서도 정작 한 번도 읽지 못했는데
이번 기회에 노벨문학상 수상작을 제대로 접했다

책을 읽기 전 차례를 보는데 마치 주인공의 수용소에서 하루하루를 보낸
일기처럼 차례가 너무 많은 것이다. 왜 차례가 많은 이유가 뭘까?
생각하면서 읽다가 그 이유를 찾았는데 

이 소설의 줄거리는 주인공인 레오가 강제 수용소에서 5년 동안 노역하면서
겪는 생활과 주인공의 감정과 심정 다룬이야기 인대
즉 이 5년이라는 긴 생활과 감정을 지루하지 않으면서도
마치 내가 지금 내가 강제 수용소에서 생활하고 있는 듯한 사실적인 내용과 문장을 표현하면서
강제 수용소에서 대한 비극과 참상을 알리기 위해 차례를 많이 한 건 아닌지 생각했고


이러한 강제 수용소 생활과 감정을 표현한 문장에서
아름다운 문장이 절대로 나올 수 없다고 생각했던

나의 짧은 생각에 비수를 꽂는 문장이었던 이 문장

 "한방울 넘치는 행복"

이 문장을 읽으면서 나 자신이 부끄러웠다.


이야기를 다 읽고 이 소설이 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이유가
사실적이고 아름다우면서도 강인한 문장과
강제 수용소에 참상을 알리기 위해서 지루하지 않게 집필한 작가의 능력이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충분한 이유가 있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작가의 후기를 읽는데
왜 사실적인 내용이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를 알게 된 순간
내 마음은 숙현해 질 수밖에 없었다.
그건 바로 작가의 오랜 동료인 시인 오스카 파티오르가
강제 노동소에서 5년 동안 실제로 격은 체험에 한번
그리고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해서 또 한 번 숙연해 졌고

내가 세상을 사는 것

그리고 작은 행복과 사소한 것에 대해 감사하게 살아가야 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든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