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1학년 공부, 책읽기가 전부다
송재환 지음 / 예담Friend / 201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평생 공부 습관, 초등 1학년 책 읽기에 달렸다!라는 슬로건을 마음에 새기며 한 장 한 장 정독을 하며 읽어갔다.
초등학교 입학을 코앞에 두었지만 여전히 나의 삶이 분주하다는 핑계로 우리 아이를 안 돌봐주는 것에 제대로 뜨끔하게 하는 책이었다.

우선 불행 중 다행인 건, 한글 공부, 수학, 과학 영어 등등 선행학습을 시켜라! 가 아니라, 1학년 때는 독서의 습관을 제대로 교육하라는 것이다. 독서의 중요성에 대한 언급과 함께 송재환 선생님께서 추천하는 책, 그리고 독서 후 할 수 있는 활동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어서 나의 교육철학과 같아 매우 유익했다. 추천하는 전집 및 낱권 책들이 있었는데 출판사에 의뢰를 받아서 한 것이 아닐 것 같아 더 믿음이 갔다. 또한 도서관을 열심히 이용해야겠다는 마음이 또 들었다.

독서를 한 후 할 수 있는 질문 내용이 있어 유익했다. 유태인의 하브루타 교육 방법처럼 질문과 답변하는 행동을 통해 생각하는 힘을 키울 수 있을 것 같다.

 

책 읽기 측면에서 초등학교 1학년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언제나 부족하다. 초등학교 1학년은 독서 습관을 형성하는 '독서의 결정적 시기'이기 때문이다. 다른 것은 다 놓쳐도 괜찮다. 하지만 독서 습관만큼은 양보하지 말기를 바란다.

도서관은 지상 최고의 놀이터, 아이가 저절로 책을 읽게끔 하고 싶은 부모가 있다면 아이 손을 잡고 동네 도서관부터 찾아가 보라고 선생님은 조언을 한다. 어릴 때부터 꾸준히 책을 읽으며 자라는 아이들은 흔해도, 어느 날 갑자기 책을 읽기 시작하는 아이들은 거의 드물다는 말도 매우 공감이 간다.

도서관과 친해지는 방법
1. 독서 통장을 만들어 주기.
2. 책을 빌릴 때는 아이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하기. 가급적이면 아이가 읽고 싶은 책과 엄마가 권하는 책을 반반씩 섞어서 빌리기.
3. 도서관 친구 사귀기. 도서관에 자주 가서 가면 항상 있는 친구랑 사귀는 것 역시 도서관을 가고 싶게 만들도 좀 더 책과 친해질 수 있는 계기가 생긴다.
4. 다양한 도서관 행사 참여하기.
5. 도서관 사서와 친해지기. 도서관 사서와 안면을 트고 자녀의 독서 상담을 해보기. (음료수라도 사들고 가기. 이건 내 개인적인 생각)
6. 도서관 가는 날 정하기. 도서관 방문은 우선순위에서 매번 밀려서 한 달에 한 번 가기도 어려운 것이 현실. 선생님 말씀처럼 도서관을 마트 가는 것처럼 요일을 정해서 꼭 가는 것을 습관화하기.


도서 구입의 7가지 원칙
1. 베스트셀러보다는 스테디셀러를 사준다.
2. 아이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주제와 소재를 선택한다. ex) <학교에 간 개돌이>란 책을 초1학생들 대부분이 좋아한다고 한다.
3. 난이도를 충분히 고려한다.
4. 옷을 사듯이 책을 사준다.
5. 인테리어를 위해 책을 구입하지 않는다. (전집 자제)
6. 책을 살 때 부모가 읽을 책도 함께 산다.
7. 특별한 날엔 아이에게 책을 선물한다.

 

나의 고민거리에 대해 콕 집어서 대답을 받은 부분이다. 부모들 중에는 자신들은 책을 열심히 읽는데 아이가 읽지 않는다고 말하는 집이 바로 우리 집이다. 우리 아이는 너무 놀고 싶은 마음이 하루 24시간이라 책을 낮 시간에는 볼 수 없다고 한다. 잠자기 전에서야 잠자기 싫으니까 책을 보겠다고 해서 책보다 일찍 자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매번 책을 못 읽는다. 하루 이틀 이렇게 지나고 나니 일주일에 책 한 권을 못 읽고 지나가는 것 같아 걱정스러운 마음이 앞선다. 저자는 혼내기보다는 독서 습관이 아이의 몸에 밸 때까지 "가족 독서 시간"을 만드는 것을 조언한다. 너무 욕심부리지 말고 하루에 단 10분이라도 매일매일 일정 시간을 가족 독서 시간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고 한다. 여유가 있는 주말에는 하루에 30분 정도로 말이다. 책을 읽고 난 후 북 토크를 하는 것을 권한다. 이때 아이가 너무 부담스러워한다면 엄마와 아빠만 하면 된다. 그러면 언젠가 아이도 자연스럽게 참여할 것이라고 한다. 곧바로 실천을 해봐야겠다.

우리 아이가 1학년이 된 후 중간 시점에 다시 한번 읽어서 다시 자극을 받아야 할 것 같다.
우리 아이를 사교육 시장으로 내몰지 말고 독서 습관을 제대로 만들어 주어야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