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없는 방에 살고 싶다 - 물건을 버리고 삶을 선택한 10인의 미니멀 라이프 도전기
미니멀 라이프 연구회 지음, 김윤경 옮김 / 샘터사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 평수를 작은 데서 넓은 곳으로 옮겨서 처음에는 집이 너무 커 보이기만 했는데 이제는 벌써 이 집도 물건들을 꽉 찼다. 첫째 아이가 커가면서 그리고 세월이 흘러가면서 늘어나는 물건들, 그 위에 쌓여가는 먼지들을 청소할 때마다 다 버리고 싶은 충동이 생기곤 했다.

첫째 아이의 물건도 많은데 둘째가 태어났다. 집은 더 어수선하고 청소를 해도 한 것 같지가 않다. 집이 호텔처럼 깔끔한 집이길 선호하지만 현실은 매우 멀다.
이유는 나도 알고 있다. 물건들이 너무 많다.
다양한 책들과 살림의 고수 블로그를 통해서 버려야 하는구나를 절실히 느꼈다.
이 책 역시 최소한의 물건들로 생활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준다. 나도 실천을 하고 싶다! 라는 욕구가 충만해진다. 이 책을 계기로 집에 있는 물건 다이어트를 해야겠다고 생각을 한다.

"미니멀한 생활을 하면서 이런 식으로 생각이 달라졌어요. 결코 '아무것도 갖지 않는' 자체의 '쾌감'을 느끼는 건 아니에요. 그보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합리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는 편히 맞아요." 그녀는 심플한 방을 위해 살아가는 게 아니라 자신의 주변을 행복한 공간으로 만들고 싶을 따름이다.
물건을 줄이면 실행력이 향상된다. 단순히 물건을 줄이거나 정리한다는 기념뿐 아니라 미니멀리스트의 삶에 이런 멋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더 많은 사람들이 않았으면 한다.

보통 사람들과는 다른 사고방식일지도 모르지만, 자기 자신 이외의 다른 무언가로 자신을 높이려고 애쓰는 사람들을 보면 측은한 마음마저 든다. 비싼 고급차나 초호화 아파트, 남들이 부러워할 만한 학력을 갖고 있다고 해서 자신의 진정한 가치가 높아지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미니멀리스트 사이에서는 이런 것들을 '기호'라고 부른다. pg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