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할머니가 미안하다고 전해달랬어요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6년 4월
평점 :
『할머니가 미안하다고 전해달랬어요』를 다 읽고 한동안 그 자리를 떠나지 못 했다. 벅찬 감동과 말문을 잃게 만드는 작가의 천재성에 감탄을 하였다. 워낙 베스트셀러 책이었고, 『오베라는 남자』 란 작품 역시 화재의 책이라고 기억했기에, 할. 미. 전이 출판되고 나자마자 너무 읽고 싶었다.
이 책을 읽고 나니, 프레드릭 배크만 작가는 정말 대단한 이야기꾼이구나 란 생각을 하며 그의 완전 팬이 되었다.
처음에 이 책을 읽으면서 난 너무 혼란스러웠다. 책이 현실인지 판타지인지, 동화인지 현재 사람들의 삶 이야기 인기 긴가민가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초반에 보이는 할머니의 말도 안 되는 행동들, 그리고 우리의 주인공인 7세 엘사의 거침없는 말투와 행동들에, 읽는 내내 이 책이 왜 재밌고 베스트셀러지... 란 생각을 하며 중도 포기의 유혹도 있었지만 계속 읽어나갔다.
그러다 이야기가 할머니가 암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책 속에 몰입도가 높아졌다. 현재 놓인 상황에 우리 주인공 엘사가 짠하고 안타까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그저 엘사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할머니와 손녀, 엄마와 딸이라는 관계를 비롯해서 주변 인물들이 어떻게 얽히고설켰는지, 그리고 할머니가 이야기 들려주는 동화 아닌 동화 이야기도 후반부에 들어가며 퍼즐 맞추듯 이해가 되는 점도 너무 재미있었다. 이 점에서 저자의 천재성이 엿보였다고나 할까...
혹시라도 이 책을 처음 접하는데 이야기 흐름이 좀 난해하다고 생각이 들더라도 일단 한번 이 작가를 믿고 읽어나가길 추천한다. 읽으면 읽을수록 소름 끼치고 뜨악 소리가 절로 나는 부분이 많이 있기 때문이다. 초반에 몰입을 잘 못 했던 것 같지만, 중간 부분부터는 책장이 저절로 넘겨진 듯 후딱 읽게 되었다.
아주 재. 미. 있. 게 말이다.
저자는 남들과 달라도 괜찮으며 사람들 겉만 보고 판단하지 말라는 그리고 사람들은 각자의 걱정거리를 가지고 있어 그 사건들이 모여 지금의 우리를 만든 것이라는 것을 이야기 속에서 들려준다.
과거가 우리의 지금 현재를 만들었듯, 하루하루의 현재들이 앞으로의 미래를 바꾸겠지 란 생각에 행복하고 현명하게 살아야겠다 란 생각이 다시 한번 든다.
나 역시 7세인 아들이 있는데 엘사의 할머니처럼 슈퍼히어로는 되기 어렵더라도 노력은 할 수 있지 않을까 란 생각도 해본다. 우리 아들에게도 다양하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많이 들려주어야겠다는 생각마저 들게 하는 책이었다. ^^
현실 세계 속 사람들은 끔찍한 일이 벌어지면 슬픔과 상실감과 심장 아리는 고통이 "시간이 지나면 차츰 가시겠지" 라고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가 않다. 슬픔과 상실감은 변함이 없는데, 그걸 평생 간직하고 살아야 한다면 어느 누가 버틸 수 있을까. 슬픔으로 마비되지 않겠는가. 그래서 우리는 결국 슬픔을 가방에 넣어서 두고 올 만한 장소를 찾아 나선다. 그런 장소가 바로 미플로리다. pg330
우리는 남들이 우리를 사랑해 주길 바란다. 그게 안되면 존경해주길. 그게 안되면 두려워해주길. 그게 안되면 미워하고 경멸해주길. 우리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남들에게 어떤 감정이라도 불러일으키길 원한다. 우리의 영혼은 진공상태를 혐오한다. 무엇이라도 접촉하기를 갈망한다. pg 495
죽음의 가장 강력한 힘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는 게 아니라 남겨진 사람들을 더 이상 살고 싶지 않ㄱ데 만드는 거야.
깨락말락 나라의 여섯 개 왕국
- 미플로리스 : 슬퍼하다
- 미레바스 : 꿈꾼다
- 미아우다카스 : 도전한다
- 미모바스 : 춤춘다
- 미바탈로스 : 싸운다
- 미아마스 : 사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