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호르몬, 어떻게 해결할까? 10대가 꼭 읽어야 할 사회·과학교양 4
박태균 지음 / 동아엠앤비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환경호르몬에 바르게 대처하려면 잘못된 정보 등 '가짜 뉴스'에 현혹되지 않기 위해서 이 책을 통해 일상에서 환경호르몬을 줄여나가는 요령을 배워보고자 책을 펼쳤다.

이 책은 읽는 내내 충격 그 자체였다. 읽으면 읽을수록, "어떻게~~~, 어떻게 하냐.... 우리 애들 어쩌냐..." 이런 생각을 계속하게 된다.

총 4부로 이루어져 있다.

1부는 환경호르몬이 무엇인지 특히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현재 상황을 적나라하게 알려준다. 초반부터 기형적으로 변하는 인간들을 어른, 아이 할것없이 증상들을 세세히 알려주는데 충격 그 자체이다. 그리고 생각해보니 주변에 아이를 못낳아서 고생했던 부부, 아이가 기형인 것 같다며 걱정하던 16주된 회사동료를 회상하기도 했다. 아, 슬프다...

2부는 환경 호르몬이 몸에 미치는 영향을 여성, 남성, 어린이, 청소년, 그리고 대물림으로 구분되어 알려준다. 우리 집 구성원인 여자, 남자, 여자 어

린이, 남자 어린이, 그리고 우리 아이들이 나중에 성장해서 (만약 생각이 있다면) 낳을 아이들을 생각하며 읽으니 정말 심각성이 가중된다.

3부에서는 세상의 모든 환경호르몬으로 이 책 중 가장 용어가 어려웠지만, 가장 유용하게 피부로 와닿기도 했다. 치약과 아기 물티슈에 방부제 역할을 위해 들어가는 파라벤이란 대목에서 언제나 사용하고 있는 우리 집 아이의 물티슈를 보며 마음이 무겁다. 그중 다이옥신은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물로 '죽음의 재'로 통하는데, 우리는 스스럼없이 섭취를 하고 있다니... 다이옥신은 한 가지만 있는 것이 아니라 총 210가지 물질이 있고 이를 그저 통칭하는 용어라고 한다. 다이옥신의 97%는 음식에서 얻는다고 한다. 이를테면 돼지비계, 치즈, 우유 등 지방이 많은 식품에 오염도가 높은 다이옥신이 있을 수 있다고 한다. 국내에 수입되었던 벨기에산이나 칠레산 돼지고기에서 다이옥신이 기준치 이상 검출됐을 때 정부가 "돼지고기 삼겹살의 섭취를 줄이거나 비계를 떼고 먹으라"고 권장했다는 대목에서도 어이가 없기도 했다. 컵라면을 먹을 때, 전자레인지에 넣고 먹지 말라고, 컵라면 뚜껑을 그릇처럼 사용해서 먹지 말고, 영수증, 번호 대기표도 이젠 소장하고 최대한 멀리하라, 라벤더 오일과 티트리 오일에 환경호르몬이 들어있다며 사용을 지양하라는 조언 등은 유용하다.

하지만, 솔직히 드는 생각은 이미 우리 생활에 깊숙이 일상생활에 젖어있는 행동들로 인해, 정말 모든 것을 놓고 산속에 들어가 채소 키우고 풀만 먹고 지낼 것 아니면 어쩔 수 없다...는 핑계 아닌 핑계를 대게 될 독자들을 위해 더 적날하고 더 독하게 아니면 매우 현실적으로 독침을 가하듯 이야기를 풀어낸다. 최대한 숙지하고 실천하자, 란 생각이 절로 든다.

이렇게 되면 마지막 4장인 환경호르몬으로부터 가족을 지키는 방법을 꼼꼼히 안 읽어볼 수가 없다. 우선 저자는 나쁜 플라스틱과 좋은 플라스틱을 제대로 구분해서 사용하라고 조언한다. 나쁜 플라스틱은 프탈레이트, 비스페놀 A가 첨가된 플라스틱 (PVC, PC)이고 좋은 플라스틱은 PE, PP, PET라고 한다. 우리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플라스틱 물병이 어떤 플라스틱인지부터 확인을 해봤다. 그런데 허걱! 나의 이쁜 베어 타운 텀블러는 어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는지 기재도 되어 있지 않다. 이건 그냥 장식용으로 사용해야 하나보다.

그리고 또 다른 건, PBA FREE라고 기재가 되어있고 TRITAN 트라이탄 7이라고 표기가 되어있는데, 전자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기재된 것으로 보아, 사용해도 되는가 보다.

이 책을 읽으며 환경호르몬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보며 지구를 더 아끼며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가 없다. 플라스틱으로 오염된 바닷새와 고통받는 고래 사진을 보며 너무너무 마음이 아프다. 정말 이 상태로 지속되다가는 1장에서도 언급되지만 줄어드는 정자와 난자로 인해 인류가 멸종되고야 말지도 모르겠다. 진짜 그렇게 될 것만 같다. 이 책을 많은 이들이 읽고 환경지킴이에 앞장서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