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흘 그리고 한 인생
피에르 르메트르 지음, 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쿠르상 수상작가 피에르 르메트르의 소설 『사흘 그리고 한 인생』을 통해 처음으로 피에르 르메트르를 만나보았다. 잘못된 정형화된 오해일 수 있지만 내가 만난 대부분의 프랑스 작가는 항상 한 문장이 정말 길다. 그래서 책을 읽을 때면 숨이 가빠지는 기분이 든다. 긴 마라톤을 달리는 기분이랄까. 책의 두께가 아니라 한 문장의 길이 때문에. 하지만 어느덧 작가의 세밀한 문장력과 정교한 심리묘사로 인해 가슴이 콩당거리며 읽게 된다.

1999년 프랑스의 시골 마을 보발. 열두 살의 소년 앙투안 쿠르탱은 집 근처 숲에서 우연한 사고로 6살이 된 동네 꼬마 레미를 죽이고 만다. 처음부터 의도적으로 은폐를 하려고 했던 건 아니었지만 점점 두려움에 사로잡힌 앙투안은 숲에 소년의 시체를 숨기기로 마음을 먹는다. 시작부터 독자는 범인을 알고 있으며 그의 행동, 그가 느끼는 감정,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마치 내가 범인이 된 것 마냥 마음을 졸이며 읽은 것 같다. 앙투안이 잡힐까? 시체가 발견이 될까? 감옥에 가거나 죽는 건 두렵지 않지만, 범인으로 지목이 되었을 때 겪어야 하는 취조, 동네 사람들의 가십, 어머니가 견뎌야 하는 손가락질 등에 대한 언급할 때는 다소 동정심이 들기도 했다. 말 그래도 사고였다. 하지만, 이를 은폐하려 드는 것이 문제였다. 신은 앙투안의 편이였을까? 시체를 은폐하고 엄청난 폭풍이 쏟아지며 마음에 난리가 난다. 그러면서 범인을 찾는 건 점점 어려워지면서 앙투안은 언제 발각될 수도 있다는 두려움을 마음에 지닌 채 살아간다. 12세 소년이 겪어야 하는 고민과 걱정, 두려움을 공감하며, 빨리 결과를 알고 싶어 책을 읽던 중 맨 뒤를 먼저 읽어 결과를 미리 보고 싶은 충동이 들기도 했다. 결과가 어떤 것인지가 어찌나 감질이 나던지.

범인으로 잡히던 안 잡히던 과는 상관이 없어, 앙투안의 인생을 의도치 않은 방향으로 전개가 되고, 정말 소름이 끼치는 반전이 맨 마지막에 나온다. 정말 맨 마지막 4쪽을 읽으며 나도 모르게 "대박~"이란 말이 절로 나온다.

의아한 행동을 보이는 앙투안의 어머니, 앙투안의 고독한 유년 시절, 항상 불안 초조한 삶을 살며 위태위태한 감정을 소유한 채 살아가는 앙투안을 보며, 세상 살며 죄는 짓지 말고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뜬금없이 든다. 앙투안에게 내려지는 처벌이 감옥에서의 삶보다 지금 현재의 삶이 더 낫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건 잘 모르겠다. 하지만 둘 다 진정한 아름다운 인생은 아닌 것 같아 안쓰럽기까지 하다.

옮긴이의 말을 통해, 숲속에서 앙투안이 어린 레미를 죽이는 광경은 카인이 아벨을 쳐 죽이는 그것과 겹쳐진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그러고 보니 그렇네~ 하는 마음에 잊고 있었던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연상케했다.

르메트르의 문학성 넘치는 스릴러! 처음만 잘 참고 끝까지 읽으며 저자의 진가를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 책 속으로


그녀는 그녀를 괴롭히는 사실들과 그녀의 상상 사이에 다 어떤 막연한 불안감만 투과시키는 높고도 견고한 벽을 세워 놓고는, 이 막연한 불안감마저 엄청난 양의 일상적 습관들과 신성불가침의 의식들로 그 힘을 약화시키곤 했다. 삶은 결국 승리해야 한다.... 이것은 그녀가 너무나 좋아하는 표현이었다. 이것은 삶이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 그녀가 바라는 상태로 계속 흘러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현실이란 것은 각자의 의지에 달린 문제일 뿐이고, 쓸데없는 걱정들에 사로잡혀 봤자 아무 소용없으며, 그것들을 쫓아내기 위한 가장 확실한 길은 그것들을 무시해 버리는 것이었다. pg 164

도시 전체가 피해를 입었고, 온 가족이 거리에 나앉은 경우가 한둘이 아닌데, 그래, 자네는 자신에게 어떤 우선권이 있다고 생각하는 건가? pg188

르메르시에 씨 가게의 진열창에 붙은 그 합성 사진으로 인해 죽은 아이는 일종의 생명의 형태를, 그의 악몽들에서만큼이나 세밀하고도 생생한 현실성을 되찾게 되었다. 세월과 함께 변한 것, 그리고 앙투안을 슬프게 하는 것은 이제 여기에 대해 아무에게도 말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라기보다는, 중요성의 순서가 뒤바뀌었다는 사실, 이제 중요한 것은 더 이상 그가 죽인 어린아이가 아니라는 사살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그의 모든 노력, 그의 모든 정신은 자기 자신에게로, 안전과 무사함에 대한 자신의 열망으로 향해져 있었다. pg 2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