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 피시 - 네 종류 물고기를 통해 파헤친 인간의 이기적 욕망과 환경의 미래
폴 그린버그 지음, 박산호 옮김 / 시공사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역시나 욕망의 문제인 것 같다.
Four Fish는 찾아보기 쉽지 않은 물고기에 대한 책이다. 저자가 본문에서 자신이 경험한 상황에서 이야기 하는 것처럼 우리의 대부분은 저자의 ‘네 물고기’라는 책을 접할 때 우선 우리의 욕구에 준하여 생각한다. ‘네 물고기?’ 연어, 대구, 농어, 참치? 이거 우리가 먹는 것이네…! 그럼 뭐야? 생선에 대한 책이구나! 아주 간단하게 생선에 대한 책이라고 결론을 내린다. 생선이라 함은 바로 우리가 식탁에 올리는 싱싱한 먹을 것이라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 우리의 식탐이 작동했음을 알 수 있다. 저자가 물고기에 대해 글을 쓴다고 주변에 말하자 그들 대부분은 ‘그런데 어떤 생선이 맛있어요? 어떤 생선이 몸이 좋아요? 등 물고기를 그냥 식탁에 누워있는 음식으로만 생각한다고 우려한다.

필자는 이 책을 짚어 들기 이전에 이 책이 단순히 생선으로서의 가치를 논하는 책이 아니라는 것을 이미 직감했다. 필자의 ‘촉’은 이 책이 우리의 욕망에 죽음에 처한 4가지 바다 생물에 대한 이야기임을 직감하게 하였다. 필자의 촉의 승리이다. 책의 표지를 읽자마자 눈에 들오는 광고문장, ‘육식의 종말’의 바다 버전… 책을 열어보지 않았지만 내용을 짐작하게 한다.


저자는 단순한 직업 분류에 의하면 어부에 가깝다. 저자를 어부라고 분류하지 않으면 백수로 분류해야 할 판이다. 적어도 고전적인 직업 분류에서는 그렇다. 저자가 자신에 대해 이야기 한 것처럼 그는 낚시가 취미이며 생물에 대한 공부를 하였고 바다생물에 대한 연구프로젝트도 진행한다. 현대의 복잡한 직업분류에 따르면 그는 연구원 정도라고 할만하다. 하지만 저자가 그의 직업에 대해 의심하는 이유는 그가 연구대상인 바다 생명체, 특히 어류에 대해 아주 열정적이다. 라는 점 때문이다. 낚시에는 어린 시절 어머니에 대한 추억이 담겨있다. 어머니가 무슨 이유에서인지 낚시를 권장했고 아들을 위해 낚시 배를 마련하는 등의 열정을 보였다. 다른 부분에서 아들에게 그렇게 다정하지도 정성스럽지도 않은 어머니는 낚시에 대해서 만큼은 전폭적이었다. 그래서 그에게 낚시와 물고기는 어머니와 어린 시절의 추억과 연결되어있다.
그것이 그가 물고기에 대해 열정적인 것이며 그의 첫 저서인 Four Fish는 그런 이유로 탄생된 책이라고 본다. 
 


바다에 대한 오해

바다에 대한 우리의 가장 큰 오해는 바다의 포용력이다. 많은 사람들이 평생 바다로 보지 못하고 살기도 하고 해변 근처에 살아도 늘 근해만 바라보다 사는 사람이 많다. 내륙에 살며 강조차 못보고 사는 사람이 바다를 그리워하는 이유는 바다의 그 광대함 때문이고 그 광대함이 모든 것으로 감싸 않을 것이라는 느낌 때문일 것이다. 바닷가에 사는 사람도 배를 타고 원양으로 나가본다면 늘 보던 바다의 광대함에 놀란다. 이렇듯 대부분의 사람들이 바다를 무한하게 생각한다. 심리적 이유뿐 아니라 실제로 인류는 바다에 대해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오는 오해로 볼 수 있다. 달에도 우주선을 보내는 인류지만 바다에 대한 탐사는 초보적인 단계여서 경제적인 이윤과 관련된 석유시추 등에서도 큰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런 것들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우리는 바다는 무궁무진하다고 쉽게 생각해 버린다.

이런 오해는 매우 심각한 문제들을 일으켰는데 지금은 불법으로 생각하지만 버젓이 행해지는 쓰레기나 방사성 오염 물질 등 바다투기 그리고 바다 생물의 남획 등의 문제가 그것이다. 둘 다 바다는 인간이 써도 오랫동안 문제가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커서 쓰레기 좀(매번 선박을 통해 투기되는 량은 사실 많지는 않다. 하지만 그 횟수가 많다는 것이 문제다.)버렸다 해도 몇 년 지나면 스스로 정화해 줄 터이고 매번 만선으로 돌아와도 다음에 출어하면 또 만선인 것으로 보니 바다 속 물고기의 량은 인간이 짐작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그러나 세계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육지의 자원이 줄어들면서 바다 자원의 수요는 점점 늘어간다. 그리고 가장 큰 문제인 인간의 식탐이 자꾸 늘어간다는 것이다.
그런데 20세기말 인류는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늘 넘쳐나던 익숙한 생선들이 언젠가부터 줄어들기 시작했다. 몇 백 년에 걸쳐 익숙하던 물고기가 어느 날부터 인가 근해에서 보기 어려워졌다. 그래서 큰 배를 동원해 원양으로 나갔다. 몇 달씩 조업을 해서 만선으로 돌아왔지만 그도 오래가지 않았다. 그제서야 무엇이 문제인가 살펴볼 생각이 든 것이다. 

 


터닝포인트

터닝포인트 : 잉계점, 어떤 것이 초기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을 정도까지 변형되거나 이동 되더라도 다시 원상회복이 되는 최후의 조건, 위치, 값을 말한다. 이 것을 넘어가면 어떤 방법으로도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 없다.

저자는 책에서 터닝포인트를 넘어가 이미 되벅임 되며 멸종을 치닫는 4가지의 해양생명체와 인간의 관계를 이야기한다. 연어, 대구, 농어 그리고 참치라 불리는 물고기들이다. 앞에서 물고기책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계속 이야기된 대로 이 4가지 종은 우리가 흔히(?) 먹거나 먹기 힘들어진 생선이다. 연어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에서는 최고급 양식당이나 가야 먹던 것이 인공양식 덕분에 뵈페 식당의 단골메뉴가 되었고 대구는 오래 전에는 생태로 자주 접하던 것이 지금은 아주 비싼 생선이 되었고 우리나라 연근해에서는 씨가 말라버렸다. 농어의 경우 우리에게는 식탁에서 보기 어려운 생선이다. 참치는 말할 필요가 없다. 캔에 넣어져 마트 매대에 벽처럼 쌓여져 있으니 말이다.



지속 가능한 방법

저자는 무조건 이들 물고기를 생명체로 보호하고 보호해야 한다고만 주장하지 않는다. 고래에 대해 그랬던 것처럼 전면적인 포획금지만이 예전의 좋았던 시절로 갈 수 있다고 주장은 하지만 이미 엄청난 시장의 압력이 존재하는 한 고래처럼 좋은 예로 남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며 지속적으로 잡으면서도 돌이킬 수 없는 멸절의 상태로 몰아가지 않을 방법을 찾기 위해 공정어업, 최신의 양식방법들을 찾아 다니며 그 가능성을 타진한다.

저자는 세계를 돌아다니며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한 방법으로 원시적인 어업방법으로 고가의 자연산 생선을 생산하는 방법과 양식을 통해 저가의 대량 생산방법을 모두 확인해 본다. 그러면서이미 원시적인 방법으로 자연산 연어를 얹는 방법이 처한 불행이라던가 무분별한 양식이 가져온 재앙에서 닥쳐올 미래를 걱정한다. 또 인간의 입맛에 따른 양식이 아닌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둔 새로운 어종의 발견에 대해서도 소개하면서 인간의 입 맛에 따라 운명이 결정된 4개의 어종을 대체하여 이 들을 구하고 어부들을 구하며 소비자들도 함께 공존할 방법에 대해 고민한다.



결론  


저자는 이 책 말미에 와서 고민을 더 하게 된다. 이미 연어나 대구의 사례에서 보듯이 자연상태를 보호하며 행해지는 공정어업은 유지하기 어렵고 어부들의 희생이 따라야 한다는 점과 좋은 생선을 저렴하게 공급하겠다던 양식업이 생태계와 업게 스스로에게 어떤 재앙을 돌려주었는지를 보면서 실망한다. 한편 대체 어종의 개발과 새로운 이종양식에서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갈 한 줄기 빛을 찾으면 이 부분에 대해 매진해야 하지 않겠다고 말한다. 그리고 결국 중요한 것은 바로 식탁에서 생선을 찾고 먹어 치울 사람들이 생각이 바꿔야 하지 않겠냐고 말하며 여운을 남긴다.

저자는 책의 본문 내내 중간자적 입장으로 조심스레 말을 하지만 필자는 다소 다른 입장에 서며 이 책을 덮었다. 본문에서 열거된 지속 가능한 어업이나 새로운 양식이라는 것도 결국에는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느냐 소비자의 입맛에 맞느냐에 영향을 받는다면 실제로 지속 가능한가에 대해서는 비관적이다. 애초에 최고급 어종인 연어를 누구나 먹게 하겠다고 잡아들이기 시작하면서 연어의 문제가 발생했고 수요가 많은 흰 살 생선을 더 많이 공급하겠다는 욕심이 대구의 문제를 일으켰다. 독특한 맛을 추구하자는 욕심이 참치 회라는 새로운 음식문화 만들었다. 이제는 누구나 이런 생선들을 쉽게 먹자고 하고 그것을 많이 팔아서 돈을 벌자고 한다. 이미 원금에 손을 대기 시작했다면 원금을 까먹는 소비를 중지하지 않는다면 원금 손실은 언젠가는 바다라는 예금계좌는 바닥을 보일 것이다. 그러면 또 다른 예금계좌의 원금에 손을 댈 것이고 이건 또 악순환이 되는 것이다. 그나마 약간의 위안을 삼을 수 있는 것은 바다라는 계좌는 회복력이 강하고 사람이 다 알기 힘든 다양한 방법으로 입금이 되고 있다. 입금보다 출금이 많아 생긴 문제이니 지금이라도 출금을 막아버리면 시간이 흐른 후에 원금을 회복하고 더 시간이 흐름 후에는 복리이자가 붙어서 인간들이 아껴서 쓴다면 이자 만으로도 수요를 충당한다는 꿈 같은 이야기가 가능하다.

중요하다는 것은 고래의 경우처럼 극단적인 조치가 최대한 빨리 이루어지느냐의 문제이다.
역시 꿈 같은 이야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