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리베카 솔닛 지음, 김명남 옮김 / 창비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이 책 제목을 보고 재미있고 공감했다.

그렇게 남자들에게 대화를 가로채인적은 없지만 억압을 당한 기억은 적잖이 있기 때문인듯 하다. 여자라서 차별받으며 커온 기억도 있고말이다.

하지만 책을 받았을때 작고 양도 많지 않아서 조금은 실망을 했다.

그런데 막상 읽어보니 제목이 가진 뉘앙스보다 무겁고 충격적인 내용이 많았다. 내가 살고 있는 이 세계는 대체 어떤 곳인가.

이 책이 특별한 점은 개인화된 사건들을 특정한 패턴으로 연결했다는 점일 것 같다.

 

'솔닛은 미국에서 9초마다 한명씩 여성이 폭력을 당하고 여성의 3분의 1이 성폭력을 경험하는 현실을 지적한다. 수많은 강간이 실제로 저질러져서 여성은 일상적으로 두려워하며 살아가는데도 많은 남성은 '모든 남자가 강간범은 아니다' 라며 각각의 사건을 예외로 간주하려 든다. 수많은 여성이 남성 파트너의 손에 죽고 그 역은 비교할 수조차 없이 작은데도 사람들은 젠더를 쏙 빼고 다른 요인으로만 문제를 설명하려 든다...' -옮긴이-

 

 

가르치려 든다는 그 행위속에는  여성의 발언을 가로채고 입을 다물게 하고 나아가 존재의 소멸까지 의미하는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저자가 드는 성폭행의 숫자, 예 등만 봐도 끔찍하다.

사실 집단성폭행이라는 기사 제목만 봐도 남자라는 동물들은 여자를 자기와 같은 인간이라고 생각하는 것일까?? 라는 생각이 들고, 구역질이 치밀어 오른다. ( 단순히 본능이나 충동의 문제라고만 볼 수 없다. 강간을 하든, 살인을 하든 괜찮다는 사회적 합의가 깔린 거다. 어떻게든 벗어날 수 있다는 확신이 있지 않고서야 그런 행위를 할 수 있단 말인가????  )

그렇게 집단 성폭행을 하는 사람들을 단순히 혈기왕성한 십대 비행 청소년 이라든가 그냥 미친놈이라고 생각하거나 성교육이 문제다 아니면 야동이 문제다 다들 이런식으로 치부하지 않나????

그냥 거기서 생각이 끝이 난다.( 사실 이게 의도된 것일수도 있는거고.  )

이게 역사적으로 길고 긴 여성이라는 성 자체를 무시하는, 소유하고 싶어하는, 그리고 가르치려 들고 채워넣어줘야하는 존재? 라고 생각하는 줄은 미처몰랐다.

저자의 표현은 더 직설적이다. 책을 보시라. 통쾌하다.

 

 

이 책은 남성이라는 성에 대해 비난만하거나 무시하거나 하는게 목적이 아니다.

평등하지 않은 모든 관계, 그래서 폭력이 난무할 수 있는 모든 관계를 타겟으로 한것 같다.

그게 광범위하게 위험에 노출된 여자라는 성이 된거고.

옮긴이가 말했듯 저자는 희망을 얘기한다.

그 또한 마음에 든다. 어쨌든 우리는 살아가야 하고 살아있다면 나아갈 테니까.

 

 

 

나의 밑줄

http://blog.naver.com/icewitch1/2203721396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색이 자본이다 - 멈추지 않는 성장을 위한 사색 프로젝트
김종원 지음 / 사람in / 2015년 4월
평점 :
품절


고전을 읽고 난 후 뭔가 생각을 해야 할 것 같은데 당최 무슨 생각을 해야 할지 몰라서 사색 하는 방법을 담은 책을 찾다가 보게 되었다.

생각하는 인문학 의 저자 이지성은 국가나 논어를 읽고 난후 본인만의 사색하는 방식을 소개했는데 그 작가만큼 읽어야 그런 생각들을 할 수 있는 건지. 애초에 그 작가가 어떻게 그런 생각들을 했는지 궁금했다.

이 책의 저자는 아무리 책을 많이 읽어도 생각의 깊이가 저절로 생기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몇권을 읽든 사색을 해서 생각의 힘을 키워야 한다는 메시지가 책 전체에 흐른다.

그래서 저자는 대문호 괴테에 대해서 많은 연구를 한 끝에 그의 사색법을 찾아낸다.



이런 종류의 책들을 읽다보면 난 이런 상상을 해본다.

나는 무공을 연마한, 중수 정도 되는 사람인데 (신검합일은 통과했을라나 여튼,) 화경의 경지에 들어가고 싶은데 그 길을 몰라 헤매는 느낌?

화경에 든 사람들이 아무리 조언을 해줘도 난 뭔소린지 모르는.

자신의 화경의 경지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열리기  때문이다.

결국 내 독서의 길은, 사색의 방법은 나만의 방법으로 얻어야 한다는 얘기다.

화경의 경지에 들어가기 위해서 무공서적을 보거나 무턱대고 무공만 연습하면 안된다. 일정한 경지에 오른 무공의 고수는 명상을 통해 한단계 더 높은 깨달음의 세계로 나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방법을 말해주는 책들이 힌트는 될지 몰라도 역시 내가 생각을 해야 한단 소리다.

부단한 노력을 통해 내가 깨달음을 얻어야 한다는 얘기다.




이 책은 사색입문서로서 괜찮은 것 같다.

사색이 무엇인지, 사색은 왜 해야하는지, 인생을 어떻게 봐야하는지 알고 싶다면 추천한다.

생각하는 인문학 과는 또 다른 느낌이고, 덧붙이자면 생각하는 인문학에선 밑줄 그은 문장이 없다면 이 책은 넘쳐나는 정도?  (다 각기 매력이 있다. 나한테 와닿는 문장이 많았다는 얘기다. )

난 이 책, 저 책에서 얻은 힌트들로 부단히 생각을 많이 해볼려고 한다.

 

 

 

 

나의 밑줄

http://blog.naver.com/icewitch1/2203397327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르기아스 / 프로타고라스 - 소피스트들과 나눈 대화
플라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상대주의에 대해 생각해보자 하니  절대주의에 대해 알아야할 것 같아서 일단 플라톤을 읽어보자 했고, 검색을 해보니 상대주의 역사는 소피스트부터 시작해서 아주 길었다. 그래서 소크라테스와 소피스트들이 대화했다는 이 책을 골랐다.

고르기아스와는 수사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대화를 하고 프로타고라스와는 미덕에 관해 얘기한다.

소크라테스는 수사학은 아첨이고 아무것도 아닌 기술이라고 하며 고르기아스와 두 제자를 깐다?

불의를 행한것을  요령있게 설득하여 대중을 옳지 않은 방향으로 끌고 나가는 것이라고 소크라테스는 비판한다.

옳은것에 대해 얘기하는 것이라면 굳이 수사학이라는 요령이  필요하지 않을테고, 옳지 않은 것을 옳은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게 수사학인것 같다. 는 식으로 나는 이해했다.

그런데 내가 옳은것에 대해 이야기 한다고 했을 때  사람들이 알아듣지 못한다면 어떡하지? 

내가 '옳은 것' 을 말한다고 하여 그것이 '옳은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것일까? 진리는 상대적이니까.

그러고보면 소피스트들은 인간을 믿지 않은것 같다. 그래서 사람들을 설득하는데 어떤 '기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게 아닐까?

 

 

잘 모르겠지만 고르기아스와 두 제자는 표면, 겉, 보이는 것들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것 같고 소크라테스는 내면, 혼, 보이지 않는것, 훌륭함 미덕 등에 관해 얘기하는 것 같다.

국가에서도 그렇지만 소크라테스는 근본을 얘기한다. 혼에게 좋은 것인가 아닌가.

그래서 소피스트들이 이해를 못하는건가. 그들은 소크라테스의 말을 인정하지 않는 것 같다.

이 책에선 소크라테스와 얘기하는 사람들의 감정들이 조금 보인다. 다들 조금씩은 짜증을 내는것 같고 결국은 소크라테스의 말에 끌려가지만, 다들 마지못해 그런것 처럼 보인다. 읽는 동안 드는 생각은 나도  소크라테스와 마주앉아 있었다면 조금은 짜증이 났을것 같다는 거였다. 뭔가 추상적인 것을 설명하는데 아주 구체적인 예들을 무한정 들며 논증을 하는데 읽다보며 '뭐였지?' 이런 생각이 들며 다시 앞으로 가봐야 한다는.... 배우기가 쉽지 않다.

스티브 잡스는 소크라테스와 이야기 할 수 있다면 가진 기술을 다 줬을꺼라는데 내가 느낀건 이정도라니 레벨 차이가 난다. ㅋㅋㅋㅋ

 

 

 

어느 시대건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해 얘기하기란 쉽지 않은 일인것 같다.

칼리클레스가 나이들어 철학하는 것에 대해 하는 말을 보면 이 시대와 별반 다르지 않으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너 좋고 말 잘듣는 우리 개 훈련 Start
김환 옮김, 스기우라 모토아키 감수 / 그린홈(Green Home) / 2003년 9월
평점 :
절판


고양이 키울때는 훈련 같은건 하지 않아서 개 키우는데도 별 생각이 없었는데 키우다 보니 우리 개들이 점점 버릇이 없어지는것 같아서 걱정이 되어 구입했다. 개는 정말 훈련이 필요한거 같다. 그리고 훈련을 시켜야 명견이 되는것 같고 말이다. 사실 명견까진 바라지도 않는다.

산책가는데 걸어보는게 소원이다. 우.아.하.게.

네이버 카페 우.나.더 에서 추천받았는데 2003년작이라 좀 걱정이 됐다.

그런데 그림이 나와 있어서 그나마 이해하기 편함.

애들 훈련시키기가 만만치 않은데 걱정이다.

그림이 귀엽다. ㅋ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개론
정진일 지음 / 박영사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그대로 철학 개론서다.

교양 서적 말고 그냥 한번 철학사를 쭉 훑어보고 싶어서 선택했다.

뭔가 보이는 것처럼 지루해 보이는 책이지만 난 재미있게 읽었다.

서양 철학사, 동양철학사, 한국 철학사를 정리해 놓았다.

다시 한번 보면서 대략의 그림을 그리면 철학사를 정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

역사적 사실들도 모아 연표를 만들면 재미있을 듯하다. 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