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색이 자본이다 - 멈추지 않는 성장을 위한 사색 프로젝트
김종원 지음 / 사람in / 2015년 4월
평점 :
품절


고전을 읽고 난 후 뭔가 생각을 해야 할 것 같은데 당최 무슨 생각을 해야 할지 몰라서 사색 하는 방법을 담은 책을 찾다가 보게 되었다.

생각하는 인문학 의 저자 이지성은 국가나 논어를 읽고 난후 본인만의 사색하는 방식을 소개했는데 그 작가만큼 읽어야 그런 생각들을 할 수 있는 건지. 애초에 그 작가가 어떻게 그런 생각들을 했는지 궁금했다.

이 책의 저자는 아무리 책을 많이 읽어도 생각의 깊이가 저절로 생기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몇권을 읽든 사색을 해서 생각의 힘을 키워야 한다는 메시지가 책 전체에 흐른다.

그래서 저자는 대문호 괴테에 대해서 많은 연구를 한 끝에 그의 사색법을 찾아낸다.



이런 종류의 책들을 읽다보면 난 이런 상상을 해본다.

나는 무공을 연마한, 중수 정도 되는 사람인데 (신검합일은 통과했을라나 여튼,) 화경의 경지에 들어가고 싶은데 그 길을 몰라 헤매는 느낌?

화경에 든 사람들이 아무리 조언을 해줘도 난 뭔소린지 모르는.

자신의 화경의 경지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열리기  때문이다.

결국 내 독서의 길은, 사색의 방법은 나만의 방법으로 얻어야 한다는 얘기다.

화경의 경지에 들어가기 위해서 무공서적을 보거나 무턱대고 무공만 연습하면 안된다. 일정한 경지에 오른 무공의 고수는 명상을 통해 한단계 더 높은 깨달음의 세계로 나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방법을 말해주는 책들이 힌트는 될지 몰라도 역시 내가 생각을 해야 한단 소리다.

부단한 노력을 통해 내가 깨달음을 얻어야 한다는 얘기다.




이 책은 사색입문서로서 괜찮은 것 같다.

사색이 무엇인지, 사색은 왜 해야하는지, 인생을 어떻게 봐야하는지 알고 싶다면 추천한다.

생각하는 인문학 과는 또 다른 느낌이고, 덧붙이자면 생각하는 인문학에선 밑줄 그은 문장이 없다면 이 책은 넘쳐나는 정도?  (다 각기 매력이 있다. 나한테 와닿는 문장이 많았다는 얘기다. )

난 이 책, 저 책에서 얻은 힌트들로 부단히 생각을 많이 해볼려고 한다.

 

 

 

 

나의 밑줄

http://blog.naver.com/icewitch1/2203397327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