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을 곧게 세운 자, 운명조차 그대를 따르리라 - 율곡 이이·신사임당 편 ㅣ 세계철학전집 5
이이.신사임당 지음, 이근오 엮음 / 모티브 / 2025년 9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선택한 이유
살다 보면 마음이 흔들릴 때가 참 많습니다. 작은 일에도 쉽게 감정이 요동치고, 눈앞의 성과에만 집착하다가 정작 중요한 것을 놓칠 때가 있지요.
이 책은 조선의 대학자 율곡 이이와 그의 어머니 신사임당의 삶과 가르침을 담아, 시대를 초월하는 지혜를 전해줍니다.
마음을 곧게 세운다는 것이 자기계발의 구호가 아니라, 내 삶의 뿌리를 다잡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는 점에 크게 공감했습니다.
이 책은 자기 자신을 다스리는 법을 찾고 싶은 분들, 매일 반복되는 생활 속에서 흔들림 없는 기준을 세우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습니다.
'마음을 곧게 세우는 것'
율곡 이이는 인간의 마음을 도심과 인심으로 구분하며, 욕구와 감정이 끊임없이 흔드는 인심을 양심으로 절제하는 것이 곧 올바른 삶의 길이라고 강조합니다.
“뜻을 성실하게 한다는 것은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다는 것이다”라는 구절은 제 마음에 깊이 남았어요.
때로는 남에게 보이기 위한 선택을 하고, 스스로도 합리화하며 살아가는 제 모습이 떠올랐기 때문입니다. 나를 속이지 않는 정직한 마음이야말로 모든 일의 근본이라는 깨달음을 주었지요.
신사임당의 가르침에서도 같은 울림을 받았습니다. 그녀는 자녀 교육에서 답을 바로 주지 않고, “이 글의 뜻이 무엇이겠느냐?”라고 물으며 질문으로 길을 열어주었습니다.
지식을 쌓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게 만드는 태도, 그것이야말로 흔들림 없는 내적 기준을 만드는 시작이라고 느껴졌습니다.
나 자신을 세우는 일도, 결국은 스스로의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아닐까 싶어요.

‘작은 습관이 큰 변화를 만든다’
율곡 이이는 “게으름은 큰 변화를 한 번에 이루려는 조급함에서 비롯된다”고 말했습니다.
처음에는 성과가 보이지 않아도 작은 일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결국 삶을 바꾸는 힘이 된다는 뜻이지요.
저 역시 하루 계획을 세우고도 끝내 지키지 못하는 날이 많았는데, 이 구절을 읽고 나니 ‘조금이라도 꾸준히 해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느끼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아침에 10분만 독서를 하거나, 하루에 한 줄이라도 일기를 쓰는 것처럼 사소한 행동이 쌓이면 생각보다 큰 힘을 발휘합니다.
신사임당 역시 완벽을 추구하기보다는 상황에 맞게 최선을 다하는 지혜를 보여주었습니다. 집안일과 자녀 교육, 예술 활동을 모두 해내면서도 굳이 불필요한 일에는 매달리지 않았다는 점이 인상 깊었어요.
책을 읽으며 가장 놀라웠던 점은, 조선 시대의 사상가들이 남긴 메시지가 지금 우리의 삶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율곡 이이가 강조한 ‘근본을 보는 지혜’는 학문적 원리가 아니라, 오늘날에도 흔들림 없는 기준을 세우는 데 필요한 통찰이었습니다.
눈에 보이는 성과와 결과에만 매달리기보다,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마음의 바탕과 삶의 태도를 먼저 점검해야 한다는 말이지요.
저 역시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외부 요인 탓을 하기보다, 내 마음의 중심이 어디에 있는지를 살피는 습관을 가져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마음을 속이지 않고 진실하게 살아가라는 가르침은, 경쟁과 비교 속에 흔들리는 현대인에게 더욱 절실합니다.
우리는 SNS를 통해 남과 쉽게 비교하고, 외부의 인정으로 스스로를 평가하곤 합니다.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남이 어떻게 보느냐가 아니라, 내가 스스로를 속이지 않고 바르게 살아가고 있는가 하는 질문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이 책을 통해 ‘겸허함과 절제’라는 오래된 덕목이 결코 낡은 것이 아니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지금처럼 정보가 넘쳐나고 욕망이 끝없이 부추겨지는 시대일수록, 스스로를 단단히 다스리는 힘이야말로 진정한 자유와 행복을 준다는 점을 깊이 공감했어요.
작은 실천부터 시작해 보기로 했습니다. 우선 아침마다 짧게라도 마음을 정리하는 시간을 갖고 있습니다.
눈을 뜨자마자 휴대폰을 확인하던 습관을 내려놓고, 오늘 하루 내가 지켜야 할 마음가짐 한 가지를 적는 것이지요. ‘조급해하지 말기’, ‘말을 신중히 하기’, ‘작은 일에도 성실히 임하기’ 같은 간단한 문장이지만, 하루를 이끌어 가는 힘이 되어 주었습니다.
이 작은 변화가 제게는 ‘마음을 곧게 세우는 훈련’이 되었고, 덕분에 하루의 흐름이 훨씬 차분해졌습니다.
불필요하게 완벽을 추구하던 습관을 조금씩 내려놓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모든 일을 한 번에 끝내야 한다는 강박 때문에 쉽게 지치곤 했습니다.
신사임당의 삶을 떠올리며, 상황에 맞게 균형을 잡는 것이 더 지혜로운 태도임을 받아들였습니다.
예를 들어 집안일이 밀리더라도 오늘 꼭 해야 할 한 가지를 먼저 실천하는 것, 업무에서 완벽한 성과보다는 지속적인 개선을 목표로 하는 것들이 저만의 작은 적용법이 되었어요.

마무리
이 책은 마음의 중심을 잡고 싶지만 늘 흔들리는 분들, 스스로를 단단히 세우고 싶은데 방법을 찾지 못한 분들에게 큰 힘이 될 것입니다.
책을 덮고 나니 저는 ‘삶을 바로 세운다는 것은 특별한 일이 아니라 매일의 작은 선택에서 시작된다’는 사실을 깊이 깨달았습니다.
더 이상 외부의 환경이나 타인의 시선에 휘둘리기보다, 내 마음을 다스리고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 정직함을 지켜야겠다는 다짐이 생겼습니다.
올바른 길은 멀리 있지 않고, 지금 이 순간 내가 어떤 태도를 선택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단순하지만 확실한 진리를 알게 되었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