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구든 글쓰기 - 고도원의 인생작법
고도원 지음 / 해냄 / 2025년 8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책을 보며
이 책에서 가장 강렬하게 다가온 메시지는 “글은 삶이다”라는 말이었어요.
단순히 글을 잘 쓰는 방법이 아니라, 자신이 살아온 삶 그 자체가 글이 될 수 있다는 말은 너무나 큰 위로였고, 동시에 도전이기도 했습니다.
저자 고도원은 “글은 인생의 축적된 경험, 축적된 생각에서 실타래처럼 풀려나온다.” 이 문장을 읽는 순간, 그동안 내가 살아온 모든 순간들이 무의미하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기쁨뿐 아니라 좌절, 고난, 실패마저도 글쓰기의 소중한 재료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은 지금 이 글을 쓰는 제 손끝에도 힘을 실어주었습니다.
“나는 오늘, 어떤 경험을 글로 남길 수 있을까?” 이 질문은 단지 글을 쓰는 행위를 넘어, 나를 깊이 들여다보게 만들었어요.
‘글쓰기는 습관이다’라는 저자 고도원의 주장입니다. 그는 글쓰기 재능보다는 꾸준함이 훨씬 중요하다고 강조해요.

매일 아침 400만 명에게 보내는 ‘아침편지’ 역시 하루 한 줄의 글쓰기를 오랫동안 반복한 결과물이라는 사실은, ‘나도 할 수 있다’는 용기를 줬습니다.
고도원은 글쓰기 습관의 핵심으로 메모를 꼽습니다. 생각의 속도보다 손이 빨라야 한다는 그의 말은, 글쓰기라는 거대한 작업도 결국은 사소한 한 줄의 메모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말해요.
저는 이 부분을 읽고 핸드폰 메모장을 매일 열기로 마음먹었어요. 하루 중 감정이 움직였던 순간, 인상적인 풍경, 짧은 대화 한 마디라도 적어두는 습관을 들이기 시작했죠.
고도원의 글쓰기 철학 중에서 특히 깊이 공감했던 부분은, “사랑과 열정이 글의 핵심 연료다”라는 말이었어요.

기술이나 표현력을 먼저 고민하지만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글은 ‘무엇을 얼마나 사랑하고 있는가’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상기시켜줍니다.
고도원은 ‘사랑은 언어를 만든다’고 말하며, 글을 쓰기 위해 무언가를 사랑하라고 이야기합니다. 저는 이 말을, 글쓰기뿐 아니라 인생의 모든 창조적 활동에 해당하는 조언으로 받아들였어요.
우리가 애정하는 것에 대해 쓰는 글은 자연스럽게 진심이 묻어나고, 그 진심이 독자에게도 전달되는 것이겠죠.
“요즘 나는 무엇을 사랑하고 있지?” 그 대답이 바로, 지금 써야 할 이야기의 시작일지도 모릅니다.

마무리
이 책은 ‘왜 쓰는가’와 ‘어떻게 계속 쓸 수 있는가’에 대해 생각하게 하죠. 글은 잘 쓰는 것이 아니라, 계속 쓰는 것이라는 믿음이 생겼어요.
얼마나 잘 쓰느냐가 아니라, 꾸준히 쓰겠다는 ‘결심’입니다. 글쓰기를 통해 나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삶을 더 풍성하게 누릴 기대를 해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