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만의 글쓰기
조제희 지음 / 들녘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목차

1부 기초를 다지는 글
1장 소개하기
글쓰기(Writing)란 무엇인가
글쓰기는 어떻게 연습해야 하는가
글의 목적과 독자를 분명히 하라
수사학적 상황(Rhetorical Situation)이란
글쓰기 과정
『5천만의 글쓰기』사용 방법
토론하기

2장 문학과 스토리텔링
수사학적 상황
작품읽기1「신장결석」
작품읽기2「결승선」
주변에서 소재 찾아 글쓰기
문학의 주제 정하기
이야기의 3요소(주제, 구성, 문체)
서술의 전략
묘사의 전략
스토리텔링의 전략

 

 

밑도 끝도 없이 목차부터 인용할 수 밖에 없었음은 책을 접하고 생각했던 것보다 두꺼운 외관에 기가 눌렸달까? 덧붙이면 기존의 다른 글쓰기 책들과 훑어 보기만 해도 확연히 다른 관점에서 서술되어 있음을 알게 되고 나서 머리속이 뒤엉키기 시작했기에 그렇다.

 

글을 잘 쓰지도 못하면서 생각을 많이 담고 살아간다는 이유로 이제는 글이라는 도구로 그 생각들을 정리해 볼까 하는 막연함을 가지게 되는 이즈음이다.

그렇다고 이즈음 자기 책 출간을 목표로 삼는 분들 처럼 구체화 시킨 글쓰기 과정이나 계획을 세우지 않았기 때문인지 더 이 책의 외형과 마주하고 놀랄 수 밖에 없었던 듯 싶다.

 

그럼에도 이 방대한 양을 담아 정리하고 출간하신 점은 존경스러울 뿐이다.

 

이 책에 담긴 예시와 방법들을 활용하려면 섬세하다 못해 치밀한 계획을 세워야 할 듯 하다. 또한 그 계획을 실천으로 옮기기 위해선 많은 시간이 소요될 듯 보인다.

게다가 전문가도 아니고, 글쓰기 전공한 것도 아닌 문외한인 내가 이 책에 나온대로 활용하려면 아마도

계획을 세우다 그냥 중도 포기할지도 모르겠다.

 

지금 현재 미국 어느 대학에서 영문학부를 가르치는 교수님이 저자이심을 부인할 수 없을 정도로 꼼꼼함을 유감없이 담아 내고 있다.

 

그냥 마구잡이로 생각나는 대로 글을 끄적이는 것이 글쓰기의 올바른 정석이라 인정할 수 없음은 안다.

더구나 장기간 동안 체계화 시켜 글을 풀어내고 싶다면 더욱 구체화된 방법을 인지하고 연습하고 훈련하며 노력해야 함을 수반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사실 나라는 독자가 이 책을 평가할 능력이 없기에 이렇게 왈가왈부 글이라는 것을 통해 느낌을 적는 것의 조심스러움 또한 알고 있다.

 

하지만, 글쓰기에 미련이 있고, 언젠가 이 세상 삶을 끝내기 전에 명확한 기억을 소유하고 있을 동안에 뭔가 남기길 원하는 마음을 떨칠 수 없다면 이 책 역시 소홀히 하고 한켠으로 치워 놓으면 안될 것 같은 느낌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읽어내려간 이 순간에 이 책과 마주하는 느낌은

딱딱하고 지루하고 머리 지끈거리게 만드는 그런 묵직하다 못해 큰 바윗돌에 짓눌리는 느낌을 받았다는 것이다.

 

내용은 꽉 차있어서 알차고 유익하지만, 왠지 틀에 박힌 정보를 알려 주는 백과사전 같은 느낌이어서일까?

여튼 지금 당장으로서는 내게 활용가치는 높지 않을 것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생각이 정리되고 여유라는 녀석을 곁에 두고 짬짬이라도 글이라는 것을 적으려는 마음이 동한다면

그 전에 꼭 이 책을 다시 살피고 시작해야 할 듯함 또한 부인할 수 없다.

 

 

오랜만에 대학 전공책을 접하고 꼼꼼하게 읽으며 분석하고 리포트를 작성하기 위해

생각 정리를 하고 있는 학생의 모습에 내 모습이 투영된다.

 

하지만 이런 저런 정보에 목말라 하며 호기심 발동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 내게는 훌륭한 가치를 담을 수 있었다.

 

 

이 책의 필요성은 인정한다.

다만 오랜 시간 흐르기 전에 내 스스로 능동적인 모습으로 책을 다시 펼치며 꼼꼼하게 체크하며 내것으로 만들어 보려는 시도를 하는 나와 마주하기를 진정 바랄 뿐이다.

 

더 늦어지기 전에 말이다.

 

한 켠에 흔적으로 남아 있는 문학 소녀의 꿈에 조금이라도 다가가는 내가 되고

그런 나와의 막연하고 흐려져 버린 약속을 지키는 성실한 나로 탈바꿈하기 위해서라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