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시아 벌린은 많은 단편을 자신에게 실제로 일어난 일을 소재로 썼다. 그녀가 죽은 뒤 네 아들 중 한 명은 이런 말을 했다. "어머니의 단편들은 실화입니다. 그렇다고 반드시 자전적이라는 건 아니지만 대충 가깝다.
고 할 수 있죠"
자신의 인생을 현실에서 그대로 따와서 이야기하는 자전 소설이라는소설 형식. 사람들이 이 형식을 마치 새로운 것인 양 논하기 시작하기도전에 루시아 벌린은 내가 아는 한 이미 초창기인 1960년대부터 그런 식으로, 또는 그와 비슷한 형식으로 글을 썼다. 그녀의 아들은 이렇게 말한 - P614

다. "이야기 속의 그 모든 시기에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나는게 나는 모를 정도로 우리 가족의 이야기와 추억이 서서히 새로운 모습을 윤색되고 수정되었습니다. 어머니는 그건 중요하지 않다고 했습니다. 이야기가 중요하다는 것이죠."

물론 루시아 벌린은 이야기의 균형 또는 색채를 위하여 필요하다면 무엇이든 바꾸었다. 이야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사건과 세부묘사, 연대순을 바꿀 수 있다. 그녀는 자신이 과장한다는 것도  인정했다. 한 단면의 화자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과장을 많이 하고 허구와 현실을 혼동하지만 정말로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

물론 루시아 벌린은 이야기를 지어냈다. 그녀의 초기 단편집을 낸 출판사 발행인 앨러스터 존스턴은 그녀와 나눈 대화를 전해준다. "공항에서만난 이모를 묘사한 부분이 정말 좋더군요. 이모의 큰 몸집 속에 긴 안락의자처럼 푹 가라앉았다는 표현 말입니다." 그러자 벌린은 이렇게 대답했다. "사실은...... 아무도 나를 마중 나오지 않았어요. 일전에 그런 장면이머리에 떠올랐는데, 그걸 이 단편을 쓸 때 집어넣은 거예요" 벌린이 어느인터뷰에서도 말했듯이, 사실 어떤 이야기들은 전적으로 지어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녀의 단편소설을 읽었다고 그녀를 안다고 할 수 없다. - P615

나는 글을 쓰기 시작했을 때 혼자였다. 첫 번째 남편이 떠났을 때 나는향수병에 걸렸다. 우리 부모님은 내가 너무 어려서 결혼한 것도 모자라금방 이혼했다고 나와 의절했다. 집에 가려고, 나는 집에 가려고 글을 썼다. 내가 안전할 수 있는 곳. 나는 현실을 교정하기 위해 글을 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