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나 필요한 과학의 원리

<과학을 발견하는 발상의 전환>

킴 행킨슨 지음/김세용옮김/올리출판사

보통 사람들은 “과학” 하면 “어렵다”를 먼저 떠올리는 사람도 있고 “재미있다”를 먼저 떠올리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우리 생활속에도 많은 과학적 지식들이 사용되는 경우도 다분하다.

오늘은 직업으로 만나는 과학이야기에 대해서 책을 읽어봤다.

우리 주위에서 다양한 과학자를 만날 수 있다? 대체 이건 무슨 말이지 하고 책을 펼쳐보는데

여러 직업들이 등장한다.

이러한 직업들과 과학과 어떤 연관이 있는건지 호기심을 가지고 읽어보았다.

소방관은 불을 끄고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키는 일을 하는 사람이다.

화재를 진압할때도 과학의 요소가 숨어있다.

소방관은 불의 원리를 이해하기 때문에 불을 잘 끌수가 있다고 해요

인명 구조 요원이 바다에서 사람을 안전하게 구조하는 이유도

바다의 특성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죠

동물원 사육사,스무디 요리사. 배달기사 이용사 선장 의사 등 과학과는 관련이 없을듯한 직업인데 의외로 이러한 직업들 속에 과학의 원리가 쏙쏙 숨어 있다고 해요.

동물원 사육사는 동물들의 특성을 알고 있어야 각자 다른 특징을 가진 동물들을 잘 보살필수가 있다고 해요.

하마는 피부로 숨을 쉬기 때문에 늘 수분기가 있어 촉촉해야하고 녹색 아나콘다는 돼지 한 마리를 먹으면 그후론 한달동안 먹이를 먹지 않아도 된다고 해요

이렇게 동물들의 특성과 먹이 특징을 알고 있어야만 그에 맞게 사육을 할수 있는거겠죠

이러한 동물 특성을 파악하는 것도 과학에 속하겠죠

요즘 날씨가 더워서 아이들과 스무디를 많이 해먹게 되는데 이 스무디를 만들어 내는 과정에도 과학이 숨어있어요.

스무디를 만드는 재료 여러 가지 과일과 야채의 성분 , 그리고 믹서기로 갈아내는 과정~

믹서기를 돌리면 소용돌이가 일어나게 되죠

칼날이 부딪히면서 재료를 작게 만들고 그 재료를 다시 가장자리로 밀어내면서 액체로 만들어주는데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소용돌이는 공기와 고체를 위아래로 끌어당겨 모든 것이 섞이도록 만든다고 해요

정말 책을 보면서 “와”라는 감탄이 저절로 나왔어요,

내가 일상생활하는데 정말 많은 과학의 원리들이 적용되는 구나 하는 생각이 정말 신기했답니다.


배달기사, 의사, 제빵사, 심지어 교통경찰까지

과학과 동떨어진 직업은 거의 없는 것 같아요.

또한 여러 가지 직업을 제시하고

직업과 관련된 물건도 알려주고

직업과 관련된 과학적 원리와 지식을 알기쉽게 설명해주니

아이의 책에 대한 흥미도가 더 높아진 것 같아요.

책속에 나온 다소 어려운 용어들은

뒷부분에 사전처럼 다시 설명해 놓아서

더 보기 편한 것 같아요.

과학에 대한 편견을 좀 버리고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볼수 있는 재미있는 책이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