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7년 6월
평점 :

제목부터 이미 직접적으로 이별을 언급해주시니 심장 부여잡고 첫 장을 펼치시기를.
한국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작가 '프레드릭 베크만' 의 신작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작가의 나이가 생각보다 어려 놀랐다. 주로 할아버지, 할머니가 주인공인 소설을 써냈기 때문에 노년의 너그럽고 너털웃음 짓는 할아버지인 줄 알았건만... 우리나라나 해외나 젊은 작가들이 주목받고 인기를 얻는 것이 반갑다.
기존의 작품을 읽어보지 않아 작가의 필력, 문체, 분위기를 알 수 없어 비교할 순 없지만 글에서 따뜻한 온기가 묻어난다. 이런 글을 쓸 수 있는 이는 틀림없이 좋은 사람이리라.
누구나 나이를 먹어가는 것, 늙어간다는 것, 추억을 하나 둘 잊어간다는 것에 대하여 생각해보곤 할 것이다. 저자는 한 할아버지와 손자를 통해 그 쓸슬하고도 아름다운 이별을 그려나간다.
평소 손자를 데리고 가 본적 없는 장소로 떠나는 걸 좋아했던 할아버지. 오늘도 손자 노아는 할아버지가 안내 해주는대로 낯선 장소에 닿았다. 히아신스 내음 가득한 광장 한 켠 벤치에 앉아 이야기를 나누는 둘.
소년이 두러워 할까 차마 이별을 고할 수 없는 노인. 두 사람이 있는 광장은 점점 작아지고 있는 할아버지의 기억창고였다. 너무도 따뜻하고 다정한 동화같은 두 사람의 시간. 이별의 날이 다가오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은 어려웠다.
기억의 광장에 옛 추억을 떠올리는 할아버지의 모습이 꿈결같지만 그 이후의 이야기를 예상할 수 있기에 작가가 꽤 잔인하단 마음이 들었다.
망각이라는 것의 괴로움. 잊어야하는 사람과 잊혀지는 사람의 고통이 가슴 아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으로 아름다웠던 풍경. 따뜻한 작가의 손 끝에서 묻어나온 풍경에 대한 묘사, 마음으로 살살 메만져 보았던 사랑스러운 문장들.

할아버지는 손자의 이름을 남들보다 두 배 더 좋아하기에 항상 '노아노아'라고 부른다. 할아버지는 한 손을 손자의 머리에 얹지만 머리칼을 헝클어 뜨리지 않고 그냥 손가락을 얹어놓기만 한다.
"무서워할 것 없다. 노아노아"
"연습할 기회가 많을 거다. 잘하게 될 거야. 네 주변의 어른들은 대부분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서 제대로 작별 인사를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후회하고 있다고 보면 돼. 우리는 그런 식으로 작별 인사를 하지는 않을거야. 완벽해질 때까지 몇 번이고 반복해서 연습할 거야. 완벽해지면 네 발은 땅에 닿을 테고 나는 우주에 있을 테고 두려워할 건 아무것도 없을 테지."
"모든 게 사라지고 있어서, 노아노아야.
너는 가장 늦게까지 붙잡고 있고 싶거든."
"한번은 선생님이 인생의 의미가 뭐라고 생각하는지 쓰라고 한 적도 있어요."
"그래서 뭐라고 썼는데?"
"함께하는 거요."
"저를 잊어버릴까봐 걱정하실 필요는 없어요. 저를 잊어버리면 저하고 다시 친해질 기회가 생기는 거잖아요. 그리고 그건 꽤 재미있을 거예요. 제가 친하게 지내기에 제법 괜찮은 사람이거든요."

거기에 사이사이 사랑스러운 일러스트가 쏙쏙 들어가 있다.
할아버지와 손자의 행복한 시간에 마음이 몽글몽글해지는 그런 그림들이었다.
내 기억의 끝, 그 광장에는 무엇이 남아있을까- 하고 생각해본다.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들의 기억도 꼬옥 붙잡고 있어아 겠단 생각을 한다.
문득 떠올랐다. 많이 보고싶고 가슴 아파서 기억 한 구석에 숨겨놓았던 사람. 치매에 걸렸어도 끝까지 나를 기억해주었던 외할머니에 대한 아련한 기억. 할머니가 많이 보고싶다는 생각. 할머니도 이런 마음이었을까?
책을 덮고 조금 울었다.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이별은 늘 슬프니까.
우리가 살아가면서 꼭 견뎌야하는 이별이라면 부디 두 사람 처럼 아름답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