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지금 문학이 필요하다 - 문학 작품에 숨겨진 25가지 발명품
앵거스 플레처 지음, 박미경 옮김 / 비잉(Being)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은 발명되었다. 용기를 북돋우고, 사랑을 불지피고, 아픔을 치유하고, 절망을 떨쳐내고, 창의의 불꽃을 피워내고,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기원전 2300년경, 수메르의 사르곤 대왕의 딸 엔헤두안나 공주가 최초로 만들었다고 알려진 문학은 그때부터 인류에게 수없이 많은 기여를 해왔다. 사람들은 문학 작품 속에 숨겨진 발명품을 오랜 세월 동안 꾸준히 발굴하고 연구해 왔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이 소피스트들에게 승리를 거두기 전까지는 말이다.

저자 앵거스 플레처는 우리에게 작품들 속에 숨겨진 문학적 테크놀로지 25개를 소개한다. 그 테크놀로지들은 우리가 문학을 읽는 동안 뇌의 특정 영역과 결합하여 우리에게 용기와 사랑과 안도와 희망과 연대감 등의 온갖 감정을 불러 일으킨다. 즉 문학은 ˝인간으로 존재하는 데서 제기되는 의심과 고통을 극복하기 위한 발명품˝이었다. 우리의 선조들은 뇌과학이 밝혀내기 전부터 문학적 테크놀로지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고 있었다.

이 책은 단테가 <신곡>에서 알레고리를 통해 우리의 정신을 자유롭게 했고, 버지니아 울프가 <댈러웨이 부인>에서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하여 마음의 평화를 얻게 했다고 주장한다. 이런 고전 문학 뿐만 아니라 현대의 드라마, 영화, 심지어 만화나 게임에서도 이런 문학적 테크놀로지들을 발견할 수 있다면서 예시를 잔뜩 든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저자의 말이 전부 그럴듯하게 들리진 않는다. 앵거스 플레처는 자기 주장의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교묘한 수법을 쓰는데, 문학적 테크놀로지를 발명한 작가들의 이야기를 실감나는 논픽션처럼 재구성한 것이다. 이 수법이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은 사실이나, 그 뒤에 제시되는 주장의 논거가 잘 납득되지 않는 게 상당히 많다. 그러다 보니 이 책에 등장하는 문학적 테크놀로지들의 상당 부분을 이해하기 힘들다.

저자는 어쩌면 서문 대신 결어의 말들을 먼저 보여주는 게 나았을지도 모르겠다. 소피스트들이 철학자들에게 패배하여 사라진 후 이 문학적 테크놀로지는 잊혀졌다. 그리고 오랫동안 문학 속에서 심오한 주제와 우화적 상징을 찾기 위해 해석하는 것이 올바른 독법이라고 여겨졌다. 하지만 이 책은 문학을 분석의 대상으로 봐서는 안된다고 말한다. 문학 속에 숨겨진 테크놀로지로 인해 유발되는 경이로움과 공감, 서스펜스 등의 감정을 통해 우리 인간이 어떻게 더 고양될 수 있는지, 치유될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학창 시절 교과서에 나온 시와 소설에 대한 해설을 달달 외우는 것보다, 그것들이 우리에게 주는 감정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향유하는 법을 배우는 게 더 낫다는 건 이 책에서 내가 동의하는 몇 안 되는 지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