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 쓴 신곡 (양장) 알기 쉽게 풀어 쓴 신곡
단테 알리기에리 지음, 이종권 옮김, 구스타브 도레 그림 / 아름다운날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는 꼭 읽고 싶었지만 쉽게 접근하지 못한 신곡을 스토리 위주로 쉽게 풀어 썼다니 읽고 싶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관광 호텔 영어 - 비즈니스를 위해 호텔리어에게 꼭 필요한 영어
연호탁.길우경 지음 / 스타북스 / 2021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영어 학습서라기 보다 전공 교재같은 느낌이 강하다. 호텔 실무에 필요한 영어회화 습득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각 단원마다 호텔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싣고 있어서 교재로 적합해 보인다. 저자들은 30년간 대학에서 각각 관광경영학과 호텔경영학을 강의했다고 하니, 학생은 물론 관광업과 호텔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책이다.

책은 18개의 단원(unit)으로 되어있다. 각 단원은 회화, 패턴 말하기, 토익문제와 같이 회화연습을 위한 부분과, 호텔에서 일하는 사람들/간단한 한국음식 영어로 소개/호텔의 비밀/해외 문화 소개와 같이 호텔 관련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회화는 체크인, 주문하기, 모닝콜 요청하기, 질문하기, 위치 물어보기, 전화로 취소하기와 같은 호텔 실무에서 있을 수 있는 상황을 손님과 스텝이 주고 받는 대화 형식으로 제공한다. 그 다음 회화 속의 한 문장을 바꿔 말하는 패턴 drill을 하도록 되어있다. 문법은 크게 다루지 않고 토익 2문제로 설명하는데 기초레벨이다.

흥미로운 것은 호텔에는 눈에 띄지는 않지만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함께 일한다는 것이다. 로비에 놓인 아름다운 꽃꽂이를 하는 '플로리스트', 낮의 업무가 끝나면 필요한 정산과 밤에 들고나는 손님을 위해 리셉션 업무도 함께 하는 '나이트 오디터', 계획한 매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면에서 소님을 모으는 활동을 하는 '세일즈 매니저'와 같은 사람들이 그렇다. 이들은 사실 투숙객이 직접 만날 일은 거의 없지만 호텔의 조직에서 중요한 사람들이다. 주로 그들이 무슨일을 하는지는 그들의 job description, qualification, 필요한 skills 를 올려 두었지만, 짧은 에세이나 기사와 같은 읽을 거리를 통해 소개한다.

이 책의 독특한 점은 회화/호텔에서 일하는 사람들/간단한 한국음식 영어로 소개/호텔의 비밀은 영문만 실고 한글 해석은 따로 두지 않았다. 독학하는 사람을 위해 한글 번역본도 함께였으면 좋았을 것 같다. 또한 원어민의 녹음파일이 같이 제공되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

이 책은 호텔리어에게 꼭 필요한 영어회화이기도 하지만, 손님과의 대화를 기본으로 만든 회화는 일반 투숙객이 호텔에 갔을 때 필요하기도 하므로 연습하기에 좋을 것 같다. 또한 일반 투숙객이 잘 모르는 호텔관련 정보도 많이 있어서 호텔 및 관광 분야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이 많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과 수다와 속삭임 - 보다, 느끼다, 채우다
고유라 지음 / 아이템하우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화 하나에 글 하나.

이 책은 140편의 서양화와 더불어 그림 마다 짤막하게 쓴 저자의 에세이를 담고 있다. 서양 명화를 볼 때마다 늘 이 그림이 어느 시대의 어느 파에 속하는지 염두에 두고 이해하려 했는데 이 책에서는 거기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 인상파, 추상파, 야수파 등과 같은 구분에서 벗어나 그림을 그대로 느끼면서 그림에만 몰두할 수 있다.

여러 화가의 작품이 섞여 있기 때문에 그림을 보다보면 어느 화가의 작품인지 맞추기도 하고 못 맞추기도 한다. 클림트의 예를 들면, 그의 화풍은 워낙 독특해서 바로 알아볼 수 있다. <해바라기가 있는 농원>을 보는 순간, 수직으로 분할한 구도를 보면서 클림트겠구나 한다. 그러나 <아테르제 호수의 섬>을 보면 전혀 다른 느낌이어서 이것도 클림트의 것인가 싶다. 이 책에는 클림트의 그 유명한 <키스>나 <유디트>와 같은 인물이 들어간 그림이 아니라 자주 보지 못한 풍경화를 주로 소개하고 있다. 인물의 강렬함으로 클림트를 이해했다면 풍경화를 보면서 그의 다른 면을 감상할 수도 있다.

그림에 대해 저자는 긴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짧은 이야기를 소근소근 속삭인다. 어떤 그림을 보면서 저자는 자신의 지난 일을 이야기하고, 어떤 그림에서는 그림 속에 폭 빠져 그림의 일부가 된 듯 이야기하고, 어떤 그림에선 화가의 마음을 헤아려보는 이야기를 속삭인다.

마네, 모네, 세잔, 고흐, 클림트, 고야, 마티스, 쿠르베, 르누아르, 샤갈, 드가, 밀레, 뭉크처럼 익히 들어본 유명한 화가의 작품은 물론 잘 알려지지 않은 화가의 작품들도 많다. 그림을 통해 화가가 전하려는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화가의 감정을 따라가보는 감상을 할 수 있다.

편안한 마음으로 화가들이 그려낸 연인들의 다정함, 사랑스러운 여인, 웃음소리가 들릴 듯한 소녀들, 웅장한 풍경, 화려한 꽃과 나무, 사진처럼 사실적인 그림들을 감상하고 싶다면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한국 반 미국 반 투자한다 - 주식 1도 모르는 사람도 수익 내는 안전한 주식투자법
린지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내 주식시장 뿐 아니라 미국시장 투자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 같아 기대되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Catcher in the Rye (Mass Market Paperback, 미국판) - 『호밀밭의 파수꾼』원서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지음 / Little Brown & Company / 199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밀밭의 파수꾼>이라는 제목 자체가 낯설어서 선뜻 택하지 않았던 책이다. '호밀밭'도 본 적이 없고, '파수꾼'이라는 말은 여호와의 증인이 나눠주는 전도지에서 본 단어라 종교색을 띤다. 사실 catcher를 한 단어로 표현하기가 쉽지는 않지만 암튼 우리말 제목으로는 끌리는 책은 아니었다. 그러나 방송에서 이 책을 리뷰하는 것을 보고 직접 읽어보고 싶었다.

주인공 홀든은 17세의 남자 고교생인데, 회상하는 식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네 번이나 퇴학을 당하고, 어려서 남동생을 잃고, 모든 사람들의 말과 행동이 가식적이라고 생각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이해해줄 사람을 끊임없이 찾는다. 마지막으로 믿었던 선생이 불미스러운 행동을 하자 완전히 구역질 나는 사회를 떠나려고 결심하지만 자신을 반겨주고 믿어주는 여동생 피비를 지켜주기 위해 남기로 한다.

십대의 남자애가 1인칭 시점으로 이야기를 끌고 나가므로 구어체이고 욕도 꾸준히 나온다. 구어체 축약에 익숙치 않아 처음엔 당황했는데 점차 익숙해진다. helluva, sunuvabitch, goddam과 같은 말이다.

성장소설이라고 하기에 홀든이 심적으로 의지할 곳이 너무 없어 외롭다. 어린 아이들을 제외한 주위 사람 모두가 가식적이다. 정직한 사람을 찾을 수가 없다. 예를 들어, 방귀를 뀌었으면서도 서로 모른 척해주는 학교 어른들, 매주 부모들이 방문했을 때 "뭘 먹었니?"에 대한 대답을 위해 금요일 저녁은 스테이크를 주는 학교 교장선생님, 상투적으로 '만나서 반가웠다'는 말은 꼭 그렇게 반갑지도 않았던 사람에게도 쓰는 인사치레에 능한 어른들이다. 겉과 속이 다르다.

그렇다고 홀든이 아주 바른 소년이냐면 그렇지도 않다. 홀든은 자신이 미성년임을 속이고 어른들의 세계인 클럽과 바에서 술을 주문한다. 홀든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이 그가 미성년임을 아는데 왜 매번 어른인 척하는 것일까? 가식을 싫어한다고 하면서도 자신도 이미 어른들처럼 가식적이다. 아이러니하다.

표지의 붉은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읽는 내내 저 말의 정체가 궁금했다. 책을 다 읽어야 알 수 있다. 주인공 홀든을 더 이상 방황하지 않게 잡아준 여동생 피비가 좋아하는 회전목마의 말이다.

한 챕터도 지루하지 않게 사건과 홀든의 심리상태가 잘 묘사되어 빠르게 읽은 작품이다. 마지막 장의 반전은 나를 혼란스럽게 한다. 홀든이 지금껏 한 이야기는 정신병원에서 형에게 들려주는 것이었다. 안쓰러움이 오래 남는다.​ 아이가 순수함을 잃어가는 것이 사회화하는 것임을 홀든에게 조언해주고 싶다. 홀든도 언젠가 어른의 가식적인 행동에 무감각해지는 어른이 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