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생에 한 번은 히말라야를 걸어라
신한범 지음 / 호밀밭 / 2017년 12월
평점 :
품절


저자의 말대로 히말라야는 전문 산악인들이나 가는 곳인줄 알았다. 그래서 시도해 보는 것 자체가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일반인인 저자는 2001년이래로 9번이나 네팔을 다녀왔단다. 정상을 목적으로 전문 산악인들이 도전하는 것은 등정이고, 일반인들이 아름다운 자연을 감상하며 오르는 것을 트레킹이라 하는데, 저자는 트레킹을 했다. 산허리를 둘러둘러 오르는 트레킹이라해도 3,000미터에서 5,000미터의 산을 오르는 것이고, 보름이 넘어가는 경우 포터와 가이드를 두고 진행하는 것이므로 쉬워보이지는 않는다. 

히말라야 3대 트레킹 코스는 세상의 지붕 '쿰부 히말라야 코스', 천상의 화원 '랑탕 코스', 풍요의 여신 '안나푸르나 코스'다. 저자는 이 중에서 가장 난이도가 높고 에베레스트산(8848미터)을 가까이서 볼 수 있는 쿰부히말라야 코스를 17일간 트레킹한 여정을 날짜 별로 자세하게 소개하고, 한국인이 많이 가는 안나푸르나 트레킹을 후반에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매번 겨울이면 찾는다는 네팔. 국토의 75%가 산이고 7~8000미터 산이 널려 있는 이 곳은 중독성이 있어서 안가본 사람은 있어도 한번만 다녀온 사람은 없단다. 쿰부히말라야를 트레킹하면서 이런 저런 에피소드가 재밌다. 힘들게 올라가보니 이미 도착해서 오렌지를 파는 아주머니가 있다거나, 온갖 장비를 둘러메고 가이드에 포터와 함께 고산병을 극복하며 가다보면 슬리퍼를 신고 흥얼대며 지나가는 네팔인들을 만난단다. 고산지대에 살아서인지 현지인들의 DNA에는 이미 고산병을 극복한 그 무엇이 있을 게다.

상대적으로 좀 접근성이 좋은 안나푸르나 트레킹 코스는 5개의 봉우리 곁을 한바퀴도는 보름간의 걷기 코스가 있단다. 그러나 굳이 트레킹을 하지 않고도 '오스트레일리아 캠프'에 묵으며 앞에 보이는 안나푸르나를 감상하다 오는 것도 있다니 왠지 만만하다. 어린아이들과 함께 가족들이 일주일간 이 곳에서 머문다하니 시도해볼만해졌다. 단지 각국의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고, 우리 한국사람들도 엄청 많다고 한다. 

아름답지만 녹록해 보이지 않은 설산 히말라야, 책장을 넘기면 나오는 많은 사진을 볼 때마다 감탄이 절로 난다. 산 아래 아주 작은 사람들과 대조적이다. 서울에서 7시간 비행으로, 카트만두에 도착해 트레킹 패키지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저자처럼 자유여행도 할 수 있지만, 혼자 트레킹을 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포터나 가이드를 동반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조언한다. 멀게만 느껴졌던 히말라야와 좀더 가까워진 느낌이고 저자가 묘사한대로 숨이 턱턱 막히는 광경을 보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아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