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라이프 - 일상 속 스마트한 선택을 위한
알리 알모사위 지음, 정주연 옮김 / 생각정거장 / 2017년 12월
평점 :
절판


알고리즘은 알파고의 등장과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주 만나게 된 단어다. 컴퓨터가 인간처럼 판단하고 일을 처리하려면 인간이 컴퓨터에 일일이 일의 내용과 순서를 입력시켜 주어야하는데 이를 알고리즘이라고 이해한다. 그래도 책에서 밝히는 정의를 가져오면 '한정된 시간에서 유의미한 목적을 달성하는 명확한 단계들의 연쇄'가 알고리즘이다. 책을 읽고 나서 이해한 알고리즘은 결국 속도의 문제이다. 같은 일을 두고 얼마나 효율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끝내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알고리즘이 일상생활과 무슨 관계일까? 한 번 알아보자. 

저자는 우리가 흔히 일상에서 하는 일을 알고리즘과 연관지어 설명한다. 양말더미에서 짝을 맞추기, 내 사이즈의 셔츠를 쓸어 담기, 장보기 횟수를 최소한 줄이기, 빠르게 미로 탈출하기, 우편물을 주소에 따라 정리하기, 위대한 음악가들을 정복하기, SNS에 관심받을 만한 상태메시지 업로드하기, 잔업 빨리 끝마치기, 이니셜 목걸이를 고치기, 분리수거장에서 택배용 빈상자 찾기, 저자명으로 책 정리하기, 마트에서 빠르게 필요한 물건만 담기와 같이 12가지의 일상을 알고리즘과 연결지어 설명한다. 제목만 보아도 어떻게 하면 빨리 끝낼 수 있는지 효율과 속도를 생각하게 한다. 이를테면, 엄청나게 많은 책을 저자순으로 정리하라는 명령을 받았다면, 한권 한권 집어서 책꽂이에 놓는 것보다 북엔드에 알파벳 별로 자리를 마련하고 정리하는 것이 빠르다. 후자를 도서관 정렬 혹은 간격삽입정렬이라 부른다. 

이렇게 어떠한 일이 주어졌을 때 하나하나 같은 일을 반복해서 하기 보다 이리 궁리해보고 저리 생각해 보면 일을 좀더 빠른 시간 내에 끝낼 수 있다. 저자는 그 방법을 두 세가지로 제시하고 어느 것이 나은지를 여러 용어와 함께 설명한다. 여러 용어의 설명이 어려워 두 세번 읽게 되기도 하지만, 그래프나 도표, 그림이 있어서 이해를 돕는다. 생각면서 읽어야하는 흥미로운 책이다.

알고리즘에 대한 개념이 궁금하고 일상의 일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에 관심이 있다면 일독할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