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도시적인 삶 - 무지개떡 건축 탐사 프로젝트
황두진 글.사진 / 반비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지개떡 건축이라는 말이 낯설다. 수직적인 건축 공간 안에 일하고 거주하는 공간을 함께 두자는 건축형식이라고 한다. 무지개 떡처럼 층층이 다른 색을 가진 것처럼 다른 기능을 가진 층을 한 건물에 두는 것을 말한다. 주상복합이나 상가아파트라는 말이 유사하다. 저자가 말하는 가장 도시적인 삶이란 왕복 2시간 걸려 직장에 가고 다시 집에 와서 쉬는 삶보다, 아래층에서 일하고 윗층으로 쉬러 올라가는 구조가 더 합리적이지 않겠냐는 것인데, 꽤 설득력있다. 과거 무지개떡 건축(직주근접) 형식으로 지어진 건물을 찾아 속속들이 그 구조와 외관, 거리와의 관계맺기 등을 살펴본다.

건축에 대한 개념을 알지 못해도 친절한 저자의 설명에 따라 읽으면 이해가 되는 책이다. 이 책에서는 무지개떡 건축을 세 가지로 나누어 고찰한다. 2층 한옥상가와 같은 단독형, 타워팰리스처럼 단지 결합형, 세운상가, 낙원상가, 유진상가와 같이 시장결합형 무지개 떡 건축이다. 그리고 마지막 편에서는 해외에서 발견할 수 있는 무지개떡 건축을 살펴본다. 

상가아파트는 개화기에 등장한 2층한옥부터 시작되지만 본격적 것은 1930년대 최초의 주상복합 아파트인 충정아파트부터 시작한다. 당시는 최고급의 현대적 아파트였겠지만, 사진상으로 보았을 때 관리가 소홀하여 미관상 재개발되어야할 건물처럼 보인다. 충정아파트처럼 도로와 면해있는 상가 아파트들이 충정로를 포함한 서대문 일대와 홍제동, 용산에 몰려 있다. 단지결합형 아파트는 1970년대 들어선 고은 아파트, 연화아파트, 홍파아파트, 반포주공노선상가 아파트와 타워팰리스에 이른다. 시장결합형은 대표적은로 세운상가와 낙원빌딩이 있는데 50년정도 된 건물이라 낡고 도시미관을 해친다는 의견이 팽배해 재개발을 추진하려다가 리모델링하는 것으로 유지하기로 결정되었단다. 시드니의 상가주택으로 놀랍게도 오페라하우스주변의 아파트들이다. 관광객과 거주인들과 상인들이 복작거리며 시끄러울텐데 설계상으로 잘 극복한 모습이 신기하다. 

저자가 사라져 가는 아파트를 찾아 자료를 검색하고, 소설이나 영화의 배경에서 디테일을 찾아보고, 발로 뛰어 건물을 찾아 사진을 찍고 입주자들을 만나 증언을 듣고 인터뷰한 내용이 고스란히 들어 있다. 이 책이 역사적 자료로 남을 가치가 있어 보이는 증거이다.  또한 읽다보면 답사를 해보고 싶은 마음이 드는데 저자가 그 마음을 헤아렸는지 부록으로 답사 코스를 짜주고 있다. 종로, 충정로, 홍제, 용산의 4코스를 찾아 읽은 내용을 확인해보는 즐거움을 가져볼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