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인도 읽는 우주여행 가이드북
닐 코민스 지음, 박아람 옮김 / 한빛비즈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별 희한한 책도 다 있다. 아직 우주 탐사선과 국제우주정거장이 존재할 뿐일 텐데 일반인이 우주여행을 갈 수 있단 말인가? 간다면 무엇을 어떻게 준비하고, 가서 무엇을 보며, 돌아와서 어떻게 재적응해야할까?란 의문에 답을 줄 책이다. 우주에 대해 많이 알지 못하는 일반인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일단 여행이니까.

저자는 천체물리학과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NASA의 특별연구원으로 은하의 진화에 대해 연구하는 과학자이다. 일반 대중을 위한 강연과 책도 써서인지 이 책도 쉽지 않은 우주에 관한 이야기를 그런데로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게 썼다.   

우선, 우주에서 인간이 여행을 갈 수 있는 범위는 그리 넓지 못하다. 거리가 너무 멀어서이기도 하거니와 경로도 복잡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능한 곳은 소행성군(아모르군, 아폴로군, 아텐군...)과 혜성, 지구의 위성인 달과 화성의 두 위성과 화성이다. 화성을 가려면 편도로 5~10개월 걸린다고 한다.

우주여행의 종류는 7가지가 있다. 가장 짧게 다녀 올 수 있는 준궤도 여행은 30분~2시간 정도 걸리는데 지구를 한 바퀴 돌며 무중량체험을 하고 내려오는 여행이다. 우주정거장 여행은 편도 3일~1주일 걸리고, 달 여행은 현재 문제점이 있는데, 장비를 계속 버리고 도달해야하므로 비효율적이므로 재사용할 방법을 찾아야할 것이다. 소행성과 혜성 여행, 트로이 소행성 여행은 몇 달에서 1년이 걸린다. 화성과 화성의 두 위성(포보스, 데이모스) 여행은 착륙과 이륙이 어려우므로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우주여행을 위해 가기 전 시뮬레이션을 통한 훈련이 필요한데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여행을 할 수 없고 통과하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통과했더라도 우주여행은 쉽지 않아 보인다. 우선, 정신적으로 고립적이기 보다 다른 사람과 잘 어울려야 우울증에 빠지지 않을 수 있고, 신체적으로 극심한 가속도와 감속도를 견뎌야하고, 멀미와 지속되는 소음으로 인한 불면과, 칼슘소실로 인한 골다공증과 충치발생의 우려가 있고, 근육손실로 인한 허약함으로 자세도 구부정해진다. 거리감과 균형감각을 잃게되고, 좁은 공간에서 생활해야하므로 폐소공포와 타인의 작은 습관과 냄새도 스트레스 원인이 된다. 또한, 우주에서 발생하는 방사선, 운석의 충돌, 빛,  DNA를 손상시킬수도 있는 자외선, X선, 감마선과 같은 전자기 복사도 있다. 상당히 두렵다. 이러한 요인을 파악하고 있다는 것 또한 대단하다. 과학이 발달해서 장비가 좋아진다면 우주선과 우주복의 개선으로 이러한 불안요소들이 해소된다면 그 때 가고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우주세계에 발을 딛어 보고, 우주에서 유영도 즐기며, 달의 분화구에서 스노우 보드 같은 스포츠도 즐기고, 기이한 지형을 사진도 찍고, 화성에 서서 녹슨 주황색 하늘을 지켜보는 것은 감동적인 경험일 것 같다. 물론 지구로 돌아와서 다시 중력을 느끼며 우주에 적응했던 몸과 마음을 다스려야하는 과제가 남아 있지만 말이다. 우주여행자와 가장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은 남극대륙이나 잠수함을 오래 탄 사람들이라고 한다. 

우주에 대해 아주 새로운 것들을 많이 접하게 되어 읽는 내내 즐거웠다. 우주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에게도 흥미를 줄 재미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