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탄생 - 우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한림 SA: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16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편집부 엮음, 강윤재 옮김 / 한림출판사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인간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화석 기록을 통해 어떻게 인류가 유인원과 다르게 진화해왔는지또 앞으로 더 진화해 갈 것인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인간의 기원을 알기 위해 유인원과의 차이를 발굴된 뼈의 각 부분(산도골반손가락다리발가락)의 구조를 비교하여 추측한다새로운 화석이 발견되면 어느 시대에 껴 맞추거나 기존의 이론이바뀌기도 한다.

 

현 인류의 어머니로 추정되는 화석은 320만년 전 루시와 330만년 전 죽은 루시의 아기다루시의 아기는유인원과 인간의 특징을 공히 가지고 있으며 인간으로 진화하는 초기 인류라고 한다인간과 유인원의 차이는커진 뇌인데 불을 발견으로 고칼로리의 음식을 다량 섭취할 수 있게 된 것이 계기가 된다


다양한 인류의생성과 소멸이 있었는데지구의 극한 기후변화는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을 가져왔으며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에서만 살다 멸종한 키가 1미터에 두뇌도 현인류의 1/3밖에 되지 않는 호빗은 아프리카에서 이동해 오며 작아 졌을 수도 있고섬에서 왜소화가 진행되었을 수도 있다는 연구가 있다화석기록을통해 인류가 에티오피아에서 호모 사피엔스가 지구 전체로 퍼져 나간 것으로 추정하는데, 앞으로 인간은 여전히진화할 것인가, 아니면 정체할 것인가아니면 기계와 공생할 것인가에대한 답은 아직 열려있다.


가장 신기했던 것은 인간의 탈모에 관한 부분이다포유강의 특징은털인데인간은 왜 털이 없는 것으로 진화했을까그것은체온유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뇌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발가벗은 피부와 에크린 샘에서의 땀 배출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물론 부분적 체모는 신체 보호를 위해 남겨졌다고 한다.  

 

다양한 연구자의 연구를 모아 놓은 것이라 간단간단하게 인간에 대한 연구상황을 알 수 있는 책이다. 그러나 익숙하지 않은 인류의 학명은 익숙해지기가 쉽지 않다. 두번 세번은 읽어야 어느 정도 이해를 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