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서 시작한 불은 책으로 꺼야 한다 - 박지훈 독서 에세이
박지훈 지음 / 생각의힘 / 202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이 책엔 어떤 주제를 떠올린 뒤, 그에 걸맞은 책을 찾아 읽고, 내 나름의 감상이나 논평을 곁들인

글들이 담겨 있다."(10쪽)

저자가 말하려는 바를 이미 정한 뒤, 그에 맞는 적절한 책을 골랐다는 점이 독특한 책이다. 주제를 먼저 정했기 때문에 책의 장단점을 평하기보다 책을 깊이있게 들여다 보고, 자신의 생각이 통하는 인용문을 올리고, 관련 책들을 어울려 소개한다.

저자는 20년의 기자생활 중에서 3년 6개월간 출판 기자로 일했던 시기가 가장 행복했다고 전한다. 매주 200여권의 책을 읽고 그 중 서너 권을 골라 서평을 썼다. 그 공력이 느껴지는 것은 글의 일관된 구성이다. 각 에세이 마다 제목을 붙이고, 아주 읽기 편한 개인 에피소드를 도입부에 배치하고, 소제목을 달아 내용을 구분한다. 이 일련의 작업이 체화되지 않고서는 시간이 걸리는 일인데 아주 자연스럽다. 황현산님의 에세이 스타일과 닮아 있어 반갑기도 하다.

책 한권에서 생각을 확장시켜 넓이와 깊이를 더한다. 문미순의 <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은 간병에 관한 소설이다. 그러나 현실에서도 돌봄의 고됨을 <간병살인, 154인의 고백>이나, 목에 구멍을 뚫은 어린 자식을 간병하는 엄마의 돌봄 인터뷰를 통해 보여준다. 다시 문미순 작가의 작품으로 돌아가서, 명주가 마지막에 은빛 요양원에서 탈출한 치매노인을 품는 것을 개인의 돌봄에서 '시민의 돌봄'이라고 돌봄의 범위를 확장하며 하나의 해결책을 제시한다. 시민의 돌봄은 공무원이나 관련 기관이 아니라 이웃이 이웃을 챙기는 것이겠다. 우리나라 현실에서 널리 확산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가장 읽어보고 싶어진 책은 주디스 리치 해리스의 <양육가설>이다. '부모의 양육이 아이의 미래를 결정한다는 것이 옳지 않다'는 이 책이 상식을 뒤엎기 때문이다. 저자의 말대로, 오은영 선생이 문제아의 부모를 따끔하게 혼내는 장면을 보면서 부모의 행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는 부모보다 또래 속 사회화 과정에서 더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이런 '집단 사회화'가 가장 활발한 시기가 초등학교 때이고, 서로 패를 지어 자기집단과 다른 집단을 구분한다. 논쟁적인 이 책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하고 판단해보고 싶다.

기자의 책이라 딱딱한 서평을 예상했는데 부드럽고 섬세하고 개성있는 독서 에세이를 만날 수 있어 반갑다. 읽고 나면 소개한 책들과도 친해진 느낌이지만, 저자와도 뭔가 친근해진 느낌이다. 저자가 미국에서 1여 년 이 책을 쓰기 위해 읽고 쓰며 보내고, 시간이 되면 딸을 픽업하러 가고, 여름이면 도서관에서 딸과 함께 시간을 보낸 추억이 따스하다. 김연수 작가를 여러번 언급하는 것으로 보아 그의 작품을 좋아하는 것 같고, 줌파 라히리라는 작가를 처음 알게된 것도 이 책에서 얻은 수확이다. 무엇보다 개인으로서나 사회 구성원으로서 우리모두 함께 인간답게 살아가고 싶다는 저자의 마음이 책 전체에서 느껴진다.

이 책은 소개한 34권의 책이 흔하지 않음에서 매력있고, 그저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수필집으로서도 좋고, '독서 에세이란 이런 것이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도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