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사를 바꾼 물고기 이야기 - 개정판
오치 도시유키 지음, 서수지 옮김 / 사람과나무사이 / 2025년 10월
평점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이 책은 청어와 대구의 어업사를 중심으로 다룬다." 15
책은 총 6장으로 되어있다. 1, 2장은 청어에 관해 3, 4장은 대구에 관해, 그리고 5, 6장은 청어와 대구가 기독교에 미친 영향에 대해 다룬다.
육식만 했을 것 같은 서양은 18세기 농업혁명 이후에야 고기가 주요 음식으로 자리한다. 그 이전에는 생선 소비량이 훨씬 많았는데, 카톨릭 교회가 한해의 절반을 단식일로 지정하였는데, 고기는 금지하였지만, 생선은 허용했기 때문이다. 청어와 대구가 그 중심에 있었다. 회유어인 청어는 경로를 바꾸면서 유럽 국가의 흥망성쇠에 영향을 주었다. 13-15세기는 발트해 연안 도시 중에서 독일 뤼베크를 중심으로 결성한 한자동맹이 강력히 부상하다가, 15세기 이후로는 청어가 북해 연안으로 경로를 바꾸자 네덜란드가 헤게모니를 쥐게 된다. 반면, 대구는 회유어가 아니므로 같은 장소에서 잡히는데, 바이킹이 활동하던 시대부터 말린 대구로 장거리 항해를 가능하게 하였다. 17세기에 잉글랜드의 신항로 개척으로 신대륙을 발견하게 되는 원동력이었고, 미국의 독립에 영향을 미쳤다.
청어가 중요해진 것은 중세 13세기 기독교가 확산되며 '피시데이'가 자리잡으면서이다. 인구도 급증하며 청어수요가 증가했다. 독일 뤼베크를 중심으로 한 '한자동맹'은 청어의 가공,보존, 운송수단을 개발하고, 뤼베크는 북해와 발트해 무역 중계 도시로 발전했다. 그러나 15세기 중반 청어가 북해로 이동하며 네덜란드가 급부상한다. 네덜란드는 연안으로 몰려오는 청어를 잡는 것이 아니라 배를 타고 나가 청어떼를 앞질러 조업을 했다. 기존 코그선 대신 새로운 바위스선을 개발해서 갑판에서 바로 염장을 해서 신선도를 높이고 적재량도 늘렸다. 암스테르담은 '청어 뼈 위에 세워진 도시'이고, 16세기말 막대한 부를 쌓은 네덜란드 상인들은 동아시아 무역을 독점하기 위해 '동인도회사'를 세운다.
대구는 스톡피시로 유명한데, 노르웨이에서 처음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소금을 사용하지 않고 장시간볕에 말려 망치로 두드린 다음 물에 불려 요리한다. 사진을 보니 우리나라 덕장의 명태 같다. 이렇게 말린 대구(스톡피시)는 10세기에 장거리 항해를 했던 바이킹에게 적합한 식량이었고, 염장 대구와 함께 선원들에게 단백질 공급을 통해 장거리 신항로 개척을 가능하게 했다.
신대륙 미국에 관한 초기 역사가 흥미롭다. 잉글랜드에서 종교의 자유를 찾아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온 사람들은 종교적 신념만 있었지, 할 수 있는 것도, 가지고 온 것도 변변치 않았다. 신대륙의 넓은 토지와 대구가 가득한 바다를 두고서도 굶어 죽어갔다. 소수만 간신히 살아남았는데, 원주민의 도움으로 첫 추수감사절을 지내게 된다. 인구가 늘어나고 대구잡이로 수익이 늘어나자 노예를 사서 설탕, 담배 플렌테이션을 한다. 뉴잉글랜드, 서인도제도, 서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삼각무역을 하고, 말린 대구로 흑인노예를 사는데 지불했다. 셰익스피어는 <템페스트>에서 말린대구를 '부정한 생선'으로 은유하며 가혹한 식민정책을 비판했다.
네덜란드가 청어잡이로 큰 수익이 나자 국력이 강해지며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했듯이, 미국은 대구로 수익을 내며 잉글랜드로부터 독립한다. 영국인은 젠틀맨의 이미지가 강하지만, 잉글랜드 어민은 그렇지 못했다. 그들의 횡포는 신대륙 뉴잉글랜드에서도 변함없이 거칠었고, 통제되지 않았다. 이러한 공격적인 성향은 프랑스와 식민지를 두고 벌이는 경쟁에서 승리를 거두고, 나아가 세수를 늘리려는 잉글랜드 본국에도 격렬히 저항해서, 결국 독립전쟁으로 이어졌고, 승리했다. 잉글랜드 어민의 터프함이 미국의 바탕이 된 셈이다.
기독교와 물고기는 긴밀한 연관이 있다. 에덴동산에서 과일과 허브만 먹던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를 따먹으며 쫓겨났다. 기독교는 단식을 통해서 에덴동산 시절로 돌아갈 수 있다고 믿는다. 카톨릭교는 금식기간에는 성욕을 일으키는 '고기' 는 금하고, 성욕을 누르는 '생선'은 허용했다. 이에 따라 생선의 수요가 확대되고 어업이 발달하고 해군력이 상승하였다. 반대로 종교개혁으로 피시데이를 폐지하자 어업이 쇠퇴하고 해군력이 약해지게 된다.
저자가 역사학자도 아니면서 하나의 주제를 잡아 여러 도서와 논문을 읽고 책을 냈다는 것이 대단하다. 물고기에 의해 국가의 흥망성쇠와 헤게모니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책이다. 물고기가 어떻게 세계사를 바꾸겠냐는 의심스러운 마음으로 시작하지만, 읽다보면 저자의 이야기에 푹 빠져서 엄연한 사실임을 인정하게 된다. 책 속에 처음 알게 되는 지식이 많을 뿐더러, 문체도 가벼워서 읽기 편하다. 어렵지 않게 흥미를 유지하며 읽을 수 있는 책이 많지 않은데 그런 면에서 매우 좋은 책이다. 강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