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순례길 여행
이준휘 지음 / 덕주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순례의 사전적 의미는 예를 갖춰 의미 있는 곳을 돌아보는 행위를 총칭한다. (중략) 이 말에는 물이 흘러가듯 천천히 주의를 둘러본다는 순행이라는 뜻도 지니고 있다. 순례라 하면 종교 성지를 돌아보는 성지순례를 가장 먼저 떠올리겠지만 우리가 부여하는 의미에 따라 성지는 종교라는 틀을 벗어나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다(4)."

책은 4부로 되어있다. 녹색 순례길, 마을 순례길, 역사 탐방 순례길, 종교 성지 순례길이다. 자연과 사람과 역사와 종교의 주제를 가지고 50개의 순례길을 소개한다.

자연 순례길에서 인상적인 곳은 주상절리와 람사르 습지이다. 겨울 한철에만 공개되는 한탄강 물윗길의 주상절리는 사진만으로도 이미 장엄하다. 화산이 남기고 간 돌기둥 모양의 석주가 다발을 이루는 장관은 제주도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한탄강을 따라 현무암 절벽, 주상절리, 폭포가 형성되어 장관을 이루는 것은 의외의 장소에서 예상하지 못한 풍경을 대하는 듯하다. 임꺽정이 숨어들었다는 고석정부터는 현무암에서 화강암 계곡으로 전환해서 또 다른 풍경을 즐길 수 있다.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내륙습지인 우포늪은 주변 5개의 습지가 모여 이루어진 것이다. 호수를 따라 한바퀴 돌아보는 트레일(8.4km)에서 텃새, 철새, 갈대와 억새, 사초와 같은 생물들을 볼 수 있다. 우포늪에서만 볼 수 있다는 세계적인 희귀조 따오기 역시 볼 수 있다니 한 번 가보고 싶어진다.

부산의 영도 절영해안산책로는 피난민이 만들어낸 마을로 인상적이다. 일제시대 조선중공업회사가 생기자 전국의 노동자가 이 섬에 모여 살았고, 6.25전쟁에는 피난민이, 제주 4.3사건에는 제주도 사람들이 들어와서 지금도 해녀촌이 있다. 현재는 관광객으로 상업시설만 있고, 이 마을에 사는 사람은 없다는 사실은 좀 쓸쓸하다. 마을을 내려와 바다를 보며 걷다가 해녀촌에서 석양을 보면 좋을 코스이다.

도전적인 코스인 봉정암 순례길은 고행의 길이다. 하루 42,997보로 책에 수록된 코스 중 가장 많이 걸어야하는 이 길은 10시간이 넘게 걸린다. 그 중 2시간은 최고 난이도 코스이다. 내설악 백담사에서 해발 1,242m에 있는 봉정암까지는 한국 불교의 대표적 순례길 중 하나인데, 봉정암에 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셔놓은 사리탑이 있기 때문이다. 봉정암 순례길은 두 개의 코스가 있는데, 비교적 쉬운 수렴동계곡코스와 아주 험한 오세암 코스이다. 오세암에는 매월당 김시습과 만해 한용운의 자취가 남아있다. 저자는 수렴동계곡 코스로 가서 오세암 코스로 내려왔는데, 체력에 따라 1박2일 혹은 수렴동계곡 코스 왕복을 권한다.

책의 구성이 가보고 싶도록 만든다. 먼저 해상도 좋은 사진들이 4계절의 장관을 보여준다. 주로 푸릇한 여름 사진이 많지만 단풍이 아름다운 가을 풍경도 감탄스럽다. 무엇보다 각 순례길의 첫 페이지에 소요시간과 몇 보를 걸으며, 고강도 운동이 포함되는지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해서 각 순례길의 수준을 짐작하게 한다. 뒷 부분에는 서울에서 가는 법과 갈만한 식당 안내는 물론, 출발에서 도착까지의 경로 지도까지 모두 유익하다. 특히 '탐방가이드'에서 해설사나 투어버스와 같은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정보를 알려주는데, 그 지역을 좀더 깊이있게 이해하기 위해 꼭 참고할 부분이다. 추가적인 자료를 검색하지 않아도 될 만큼 완벽한 길잡이 역할을 한다.

정성스럽게 잘 만든 책이다. 국내 걷기 여행에 필요한 정보를 보기 쉽고 알기 쉽게 제공한다. 내일 당장 떠날 수 있도록 코스 설명과 주의사항, 참고사항을 알려주고 있어서 이 책 한 권이면 바로 출발할 수 있다. 자연과 역사, 종교에 관한 서사가 있는 길을 걸으며 생각하는 여행을 계획한다면 꼭 참고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