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르불문 관통하는 글쓰기 : 기본 이론편
문수림 지음 / 마이티북스(15번지) / 2024년 10월
평점 :
장르와 상관없이 모든 글쓰기에 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니 기대된다.
책은 5장으로 되어있다. 화살 끼우기, 들어 올려 당기기, 조준하기, 발사하기, 회수하여 확인하기다. 글쓰기를 활쏘기에 비유하여 목차를 정한 것이 참신하다. 미괄식이라 끝까지 읽어야한다.
어떤 한 장르의 글을 쓰려면 소재를 모아서 플롯을 짜고 주제를 정하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다. 각 장르에 따른 글쓰기 방법을 아우르는 글쓰기는 어떤 것일까? 이 책은 글쓰기 태도에 관해 말한다. 장르와 상관없이 글을 잘 쓰기 위해서 기초적으로 해야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다독, 다상, 다작이라는 다소 상투적인 방법부터 시작해서 필사, 제시어 쓰기, 필사 후 생각남기기, 감사일기 쓰기와 같은 자기학습에 이르기까지 어떤 장르의 글이든 쓰기 전에 연습해야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기본적으로 글이란 남을 의식하고 쓰는 것이다. 타인을 향해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므로 간결하게 쓴다. 그렇게 글을 올리고 나면, 독자와 거리감을 두는 자세가 필요하다. 타인의 긍정적 피드백에 지나치게 기뻐하는 것도, 가혹한 비평에 휘둘려 좌절하는 것도 글쓰기가 어려워지는 이유이다. 글쓰기를 오래 잘 하려면 함께 쓰는 오프라인 친구들을 만들라고 추천한다. 그들과 함께라면 좀더 편안한 마음에서 객관적 피드백을 받으며 지치지 않고 글을 쓸 수 있다.
글쓰기를 활쏘기에 비유하여 목차를 정했으나 제목과 내용의 연결고리를 설명하지 않는다. 한 번쯤은 설명해도 좋지 않을까한다. '화살끼우기'에 글쓰기 정통법을 언급하고, '들어올려 당기기'에 다독다상다작을 , '조준하기'에 간결하게 쓰기를, '발사'에 본격적으로 관점을 키우고 문장력 키우기를, '회수하여 확인하기'에 오프라인에서 함께 쓰기를 강조한다.
저자가 제안하는 글쓰기 방법으로 노트북보다 연필로 써보라는 조언은 의외이다. 요즘 거의 모든 작업이 컴퓨터에서 이루어지고, 그 편리함에 익숙해 있는데 연필로 써본다는 것 자체가 낯설다. 그러나 쓰고 지우고를 반복하면서 생각을 정리할 때에 컴퓨터의 철자체크와 같은 불필요한 것들이 불쑥 튀어나와 집중을 흐리게 하는 것보다 수고스럽지만 공책에 써보는 것이 옳겠다는 생각에 동의한다.
이 책은 글쓰기 책을 여러 권 읽어본 사람이라면 다 아는 내용일 수도 있지만, 글쓰기 책이 처음이라면 글쓰기를 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딱딱한 글쓰기 방법론이라기 보다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한 부드러운 조언 같은 책이다. 글쓰기를 시작하는 사람이 읽기에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