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자이 오사무×청춘 청춘
다자이 오사무 지음, 최고은 옮김 / 북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절한 두 작가의 책이 '청춘'이라는 주제로 묶여 두 권으로 나왔다. <라쇼몽>으로 잘 알려진 아쿠타가와 류노스케(1892-1927: 35세 자살)와 <인간실격>으로 유명한 다자이 오사무(1909-1948: 39세 자살)의 단편소설집이다.

이 책은 다자이 오사무의 12편의 단편(그는 예전의 그가 아니다, 어릿광대의 꽃, 한심한 사람들, 등롱, 우바스테, 여학생, 젠조를 그리며, 달려라 메로스, 부끄러움, 기다리다, 금주의 마음, 생각하는 갈대)을 소개한다. 불안함이 작품 전체에 흘러넘쳤던 류노스케의 청춘에 대한 작품집과 달리 오사무의 작품은 비교적 현실적이고 다양한 화자의 이야기로 비교적 밝은 느낌이다. 오사무 역시 여러 차례 자살을 시도했을 정도로 죽음과 가까웠기에 작품 안에서 작가라는 직업에 대한 조소와 실패한 자살에 대한 생각을 알 수 있다.

동반자살에 관한 이야기는 <어릿광대의 꽃>와 <우바스테>이다. <어릿광대의 꽃>은 바다에 투신했던 커플 중 남자만 구조되어 요양원에서 보낸 4일 간을 그린다. <우바스테>는 동반자살을 하려는 부부가 수면제를 사서 함께 죽을 곳을 물색하고 시도하는 과정을 그린다. 류노스케가 정신적인 문제로 혼자서 자살을 고민했다면, 오사무는 여인과 동반자살을 시도했다는 것이 다르다.

구성이 독특한 작품으로 <어릿광대의 꽃>는 등장인물들이 진행하는 이야기에서 작가인 '나'가 등장해서 이야기를 잘 이끌고 있다는 둥 그렇지 않다는 둥 스스로를 평가한다. 이렇게 작가가 불쑥 끼어드는 것이 세련된 작풍이라고 자랑하더니 갑자기 왜 소설을 쓰는지에 대해 늘어놓는다. 사실 동반자살하려다 여성만 죽고 구조된 요조의 이야기가 궁금한데 이야기는 중단되고 독자는 작가의 고백을 들어줘야한다. 걷어내고 싶지만 읽어야한다. 찾아보니 이 작품은 작가의 첫번째 동반자살 시도를 그대로 그리고 있어 보인다. 소설인지 실재사건에 대한 고백인지 헷갈린다. 이 작품은 <역행>과 함께 제1회 아쿠타와상 후보에 올랐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는 오사무가 매우 존경한 인물이다.

오사무의 단편의 특징은 한 사람이 아니라 여러 사람이 쓴 글같다. 남성, 여성, 1인칭, 2인칭, 3인칭의 다양한 화자에 따라 문장과 글의 느낌이 달라진다. <그는 예전의 그가 아니다>의 화자는 중년의 남성으로 점잖고, <어릿광대의 꽃>은 20대의 젊은 청년들의 철없지만 생기넘치는 분위기이다. <여학생>에서는 소녀스러운 수다스러움이 묻어나오고, <달려라 메로스>는 마치 그리스 로마신화에 나오는 이름을 가진 등장인물들이 등장해 옛날 이야기같은 느낌이다. <부끄러움>에서는 소설가의 작품을 실재와 같다고 믿는 20대 여성의 어리석고 순진한 모습이 그려진다.

류노스케의 글에 비하면 오사무의 글은 묘사가 길고 자세하다. 류노스케의 글이 시적이라면, 오사무의 글은 에세이같다. 일본 근대문학의 대가이자 요절한 두 작가의 단편 소설집을 함께 읽으며 비교해 볼 수 있어서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