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자들의 죽음 - 소크라테스에서 붓다까지 EBS CLASS ⓔ
고미숙 지음 / EBS BOOKS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이라는 말은 조심스럽다. 나이든 사람이나 병든 사람 앞에서 죽음을 언급하는 것은 실례이고 상처가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늘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어떻게 죽을 것인가, 혹은 죽기 전까지 어떻게 살 것인가를 고민한다. 과거 현명한 사람들은 죽음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책은 8장으로 되어있다. 철학, 과학, 종교 지도자들이었던 소크라테스, 장자, 간디, 아인슈타인, 연암, 다산, 사리뿟따, 붓다까지 8명의 성인이 생각하는 죽음에 대해 설명한다.

우리가 죽음을 터부시하는 유래에 대한 설명이 인상적이다. 근대 이후, 노동이 중요시되며 죽은 자는 노동할 수 없으므로 죽음이 내팽개쳐졌다. 죽음이 터부시되고 감춰지게 되면서 오늘날의 우리는 죽음을 모른다. 도처에서 죽음이 발생해도 죽음을 알지 못하는 현대인은 죽음을 공포로 느낀다. 죽음에 대한 지혜가 없어진 현대 우리는 근대 이전의 현자들이 죽음을 어떻게 생각했는지를 알 필요가 있어 보인다.

서양 철학을 대표하는 소크라테스에게 죽음은 삶과 같다. 삶과 죽음은 서로 순환하기 때문에 죽음이 두렵지 않다. 육체는 소멸하지만 영혼은 불멸해서 윤회하는 것이다. 배운다는 것은 새로 익히는 것이 아니라 이미 뇌 속에 저장된 것을 기억해내는 것이라는 상기론이 꽤 인상적이다. 소크라테스는 정치적 희생양으로 사형선고를 받고 억울한 마음에 주위 사람들이 권하는대로 도망가 살 수도 있었지만, 칠십이 넘은 그에게 죽음은 육체의 소멸일 뿐이므로 두려움이 아니었다. 소크라테스가 처한 환경, 주위 사람들, 당시의 시대 배경을 넘나들며 소크라테스가 죽음을 어떻게 생각했는지 풀어가는데 흥미롭다.

과학자인 아인슈타인의 죽음에 대한 생각은 어떠했을까? 특수상대성 이론(1905년)과 일반 상대성 이론(1915년)을 완성한 그는 죽음에 대해 초연했다. 자신이 할 일을 다 했으므로 우아하게 떠나겠다고 했다. 저자는 아인슈타인의 인생을 전후반으로 나누어 설명하는데 인상적이다. 아인슈타인의 인생 전반은 시간과 공간의 절대성을 이야기한 뉴턴의 생각을 뒤집는데 몰두한 것이라면, 후반은 양자역학을 부정하면서 자신의 이론을 고수하려는 시기다. 권위에 반발했던 전기와 권위적이었던 후기의 차이를 극명하게 비교해 주어서 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가 비록 원자폭탄을 만들게 된 원인을 제공하였지만, 이 폭탄이 세계를 멸망시킬까봐 두려워한 평화주의자이기도 했다. 과학자인 그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이 스피노자의 <에티카>라는 사실도 놀랍다.

소크라테스의 삶과 죽음의 순환은 불교의 윤회를 떠올린다. 붓다는 우리가 이미 잘 알고 있지만, 사리뿟따(사리불, 사리자)는 처음 알게 되었다. 사리뿟따는 붓다의 상수제자(수제자)로, 인도 카스트 계급의 최상층인 브라만 출신이다. 사리뿟따는 억겁의 서원으로 마침내 붓다를 만나고 그의 생각을 가르치는 지혜로운 제자다. 사리뿟따와 붓다에게 죽음은 열반으로 윤회의 끝이자, 삶의 고단함에서 풀려나는 해방이고 휴식이며 자유다. 상수제자가 스승보다 먼저 열반하여 하는데, 그의 죽음을 안타까워 하는 제자에게 그의 육신은 흩어졌지만 그의 다르마(법)는 그대로 남아있다고 타이른다. 붓다의 제자를 비롯한 주변 인물에 대해 알 수 있어서 좋았다.

저자의 강연처럼 문체도 씩씩하고 거침이 없다. 직선적이고 간결해서 무슨 말을 하는지 바로 이해할 수 있고 몰입할 수 있다. 현자들의 인생과 철학을 짧은 챕터 안에 잘 정리해두어서 그들의 인생과 철학, 특히 죽음에 대한 생각을 잘 이해할 수 있다. 현자들에게 죽음이란 두렵고 거부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삶 만큼 가치 있고, 오히려 삶보다 더 자유로운 것이라는 생각을 해볼 수 있다.

죽음이라는 주제로 동서양 현자들의 삶과 생각을 잘 소개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