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 - 죽을 만큼, 죽일 만큼 서로를 사랑했던 엄마와 딸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진환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는 자살을 시도한 여고생과 그 엄마가 '딸 아이에게 모든 걸 바쳐 키운 이유'를 신부님에게 쓰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행복하기만 했던 엄마의 삶이 180도 바뀌게 된 것은 태풍으로 함께 자고 있던 외할머니가 숨지고 어린 딸만 간신히 구출해나온 이후다. 집이 불타버려 시부모댁으로 들어가 살게되면서, 아빠는 방관자가 되어버리고, 엄마는 집안일에 농사일까지 하느라 고되기만 한데도 시어머니에게 좋은 소리를 못 듣는 고단한 삶이 시작된다. 친할머니의 구박으로부터 엄마를 보호하기 위해 딸은 애를 쓰지만 어쩐 일인지 엄마는 딸에게 냉정하게 군다.

외할머니, 엄마, 딸의 이야기다. 외할머니는 언제나 온화하고 매사에 딸을 세심히 살펴 칭찬을 아끼지 않는, 누가 봐도 모성애가 가득한 인물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엄마는 결혼해 아이가 있는데도 아직 미숙하고 정서적으로 외할머니에게 많이 의지하는 유약한 인물이다. 딸은 엄마보다 외할머니에게 더 의지하지만 외할머니가 돌아가신 후 고된 삶을 맞이한 엄마를 위해 일을 도우며 엄마의 사랑과 칭찬을 갈구하지만 늘 실패한다.

모정은 만들어지는 것인가? 그렇다고 생각한다. 외할머니와 어린 딸 중에서 선택해야하는 순간에 젊은 엄마는 아이는 또 낳아도 되므로 외할머니를 선택한다. 그러나 외할머니가 혀를 깨물고 죽자 하는 수 없이 딸을 구해내지만, 두고두고 외할머니를 잃은 것에 마음 아파하며 그 괴로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아이가 사랑을 갈구하는 모습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더 냉랭해 지다가 아이의 자살시도로 정신을 차리게 되는 엄마를 보니 모성은 원래부터 넘치게 있는 것이 아니라 아이와 함께 커가는 것이라는 생각이다.

이 가족의 문제는 서로의 아픔을 품어주려는 노력이 없었던 것이다. 아버지가 할아버지에게 입은 상처를 치유하지 못하고 그 상처는 아내와 딸 아이에게 전도된다. 아빠가 자신의 얘기를 엄마와 공유하며 조금씩 아픔을 치유했다면, 엄마 역시 돌아가신 외할머니로부터 정서적으로 독립하고 한 아이의 엄마로서 받은 사랑을 딸아이에게 온전히 쏟을 수 있었다면, 오해로 점철된 상황에 빠지지 않았을 것이다. 점차 서로를 이해하면서 좋아지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의 속을 모르며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지레짐작하며 참아내야하는 관계가 안타깝다.

이야기가 후반에서 급격한 반전과 결말을 짓고 있어 당황스럽다. 분명 모녀의 이야기와 고등학교 선생들의 이야기가 함께 진행되었는데 후반에 선생들의 이야기가 매듭을 짓지 못하고 끝난다. 어찌된 일인가? 구성이 미흡한 것인가? 또한, 초반에 타도코로와의 결혼을 말린 히토미가 막판에 아빠가 바람피는 상대임이 밝혀지는 것은 좀 놀라운 구성인데, 딸아이가 미처 알지 못했던 외할머니의 죽음에 관한 이야기를 불륜녀에게 들어야하는 상황이 잔인하면서 그 이야기를 듣고 자살시도를 하는 일련의 상황이 개연성이 부족해 보인다. 아니면 그만큼 가족간의 유대가 약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겠다.

딸아이가 살아나면서 독립하며 꾸릴 가정은 과연 모성애 넘치는 가족이 될 것인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