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사물 탐구 사전 - 우리와 함께 했던 그때 그 물건
정명섭 지음 / 초록비책공방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대는 개항 이후 외국문물이 들어오는 구한말과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한국전쟁을 거쳐 산업화로 고속성장을 이루는 최근 100여 년간을 의미한다. 이 시대에 들어왔으나 지금은 사라진 8개의 사물(전차, 무성영화, 성냥, 재봉틀, 인력거, 풍로, 축음기, 고무신)을 소개한다.

이야기는 들어봤지만 실제로 본 적이 없는 '전차'는 드라마 <미스터 선샤인>에서 볼 수 있다. 미국인에 의해 놓여진 노면전차는 일본회사로 넘어가며 운영비를 아끼려고 제대로 관리를 하지 않아 사고와 불만이 넘쳐서 부영화하자는 목소리가 높았다니 당시 사람들의 불편이 상상이 간다. '인력거'는 일본에서 발명한 것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서는 최하층민의 수입 수단이 되었다. 그러나 사람이 어떻게 사람이 끄는 것을 탈 수 있느냐며 비인도적이라고 타지 않았던 기생들의 마음에 공감한다. '무성영화'는 활동사진에서 넘어왔는데 소리가 없는 까닭에 화면을 설명하는 변사의 전성시대를 열었다가, 유성영화가 나오면서 함께 사라졌다.

주부들의 수고를 덜어준 것은 석유풍로와 재봉틀이다. 고려시대 이전부터 사용해오던 풍로가 조선시대 온돌이 확산되며 난방과 취사를 한 번에 한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주부들은 부엌을 떠날 수 없었다. 일어로 곤로라 불린 석유풍로는 간단히 불을 붙일 수 있고, 이동이 쉬워 꽤 오랫동안 사랑받았다. 또한 재봉틀은 촘촘히 박음질을 할 수 있어서 더 이상 주부들이 한복을 일일이 해체했다 다시 꿰매는 수고를 덜어주었다.

이러한 신문물들은 우리 나라에 공장을 짓고 생산하기도 하였는데 일제강점기의 노동자들의 파업은 얼마나 열악한 상황에서 일했는지 알려준다. 장시간 일하는 열악한 근무조건 속에서 일본인 사업주에게 착취당한 성냥공장과 고무신 공장의 여성들은 파업을 감행하였고, 재봉공장 여성 공원들의 빠져 나올수없는 개미지옥이 전태일 열사에까지 이어졌다. 최하층민에 속하는 인력거꾼의 동맹파업은 자동차가 들어오며 힘을 잃게 된다. 식민지의 열악한 환경에서 목소리를 내긴하였지만 안타깝게도 성공을 한 것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관련 사물의 사진은 물론 소설과 신문기사 나타난 이야기를 통해 당시를 상상해볼 수 있다.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의 주인공이 인력거꾼이었고, 병든 아내를 제대로 먹이지 못할 정도로 가난한 삶을 보여준다. 심훈의 <상록수>에서는 커피를 끓이거나 찌개를 데우는 용도로 석유풍로가 등장한다. 신문기사는 더욱 리얼한데, 풍로 때문에 대구에서 기관사의 아내가 밥을 하기 위해 풍로에 석유를 붓다가 석유통으로 불이 붙으며 폭발해 온몸에 화상을 입어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고 상세히 보도한다. 당시 신문을 참고한 것인지 구체적인 장소와 날짜, 신분까지 밝히고 있어 실감난다.

근대에는 혁신적인 사물이었지만 지금은 사라져 볼 수 없다. 전차를 비롯해 책에 나오는 실물이 궁금하다면 서울 역사박물관과 국립서울과학관 등에 전시되어 있다니 한 번 둘러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