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탁 위의 경제학자들 - 노벨 경제학자들에게 배우는 최소한의 생존 경제학
조원경 지음 / 페이지2(page2)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식탁 위에서 경제학자들의 이야기를 듣기가 그리 쉽지 않다. 더구나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경제학자들의 이론은 얼마나 심오하고 어려운 이야기인가. 그러나 이 책은 다양한 이론들을 아주 쉽게 풀어 설명하고 있다.

26명의 노벨경제학자를 5개의 주제로 구분하여 소개한다. 삶과 경제의 영혼, 우리가 직면한 도전, 경제와 윤리, 국가만들기, 기술과 혁신이다. 아래와 같이 몇 개의 이론을 소개해보자.

노벨 경제학상을 두 번이나 수상한 폴 새뮤얼슨(1915-2009)은 정부의 개입을 중시하는 케인즈를 지지하는 경제학자다. 인간의 탐욕에 대해 경고하는데 남과 비교해서 더 잘 살고 싶어하는 욕망이 인간을 불행하게 만든다고 주장한다. '인간의 행복= 소유/욕망'이고, 욕망이 커질수록 가지고 있는 양과 상관없이 불행해진다. 어느 정도 소유하면 행복할 수 있는데도 끝없이 소유하려는 욕망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코로나 19로 세계 각국이 엄청난 돈을 푸는 통화정책을 펼쳤다. 헬리콥터 머니를 푼 버냉키의 스승인 밀턴 프리드먼(1912-2006)은 통화주의 경제학자로 연준이 매년 일정 비율의 통화량을 증가시켜야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수습하느라 연준은 지금 빅스텝이니 자이언트 스텝이니 엄청난 규모로 금리를 올리고 있다. 인플레와 디플레가 역사적으로 반복되고, 지금 인플레 상태인 미국은 금리를 올려 인플레를 억제하려하지만, 그 불똥은 우리나라와 같은 신흥국에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노벨경제학자들의 투자실력은 어떠할까? 로버트 머튼(1944- )은 폴 새뮤얼슨의 제자다. 천재 물리학자 뉴턴조차 주식시장에서 원금의 90%를 날렸다고 하는데, 수학자로서 파생상품시장을 성장시키는데 큰 공헌을 했다는 머튼은 어떨까? 그 역시 처음에는 채권의 차익거래에 30배 레버리지를 이용해 엄청난 수익을 올렸다가 결국 쫄딱 망해버렸다. 은퇴 후 원하는 목표수입을 정하고 자산을 마련한 후 그 목표 소득에 다다르면 위험자산 투자 대신 안전자산 투자로 바꾸라고 조언한다.

테슬라와 애플과 같은 혁신기업은 전 세계의 돈을 끌어모은다. 미래에는 인공지능이나 로봇이 인간이 하는 일을 대체해서 생산성은 높아지지만 많은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도 한다. 앵거스 디턴(1945- )은 미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복지, 소비, 빈곤과 건강에 대한 실증 연구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 디턴은 점점 혁신기술을 가진 사람은 큰 돈을 벌고, 그렇지 못한 대다수의 사람들은 빈곤에 빠지게 되는 나쁜 불평등이 심화될 것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복지와 개인의 소비 선택을 기반으로 한 경제정책을 만들어야한다고 역설한다. 그리 멀지 않은 미래의 일이다.

경제학에 대한 많은 지식을 가지지 않은 일반인도 노벨경제학자들의 이론을 현실의 문제와 쉽게 연관지어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책이다. 누구나 읽어도 좋은 책이다. 강추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