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에서 탄생한 위대한 CEO들 - 경영의 위기에서 그들은 왜 서재로 가는가?
최종훈 지음 / 피톤치드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로벌 CEO들의 서재에는 어떤 책들이 있을까? 라는 궁금증에서 구글을 검색해서 12명의 CEO들을 선정하고, 그들이 읽은 책 중 3권씩 총 36권을 선정해서 리뷰를 정리한 책이다. 빌 게이츠나 일론 머스크처럼 다독자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고, 되도록 문사철 위주의 책을 선정하였다고 밝힌다.

글로벌 CEO에는 피터 틸, 브라이언 체스키, 일론 머스크, 에반 슈피겔, 마크 저커버그, 스티브 잡스, 제프 베조스, 빌 게이츠, 트래비스 캘러닉, 스튜어트 버터필드처럼 미국 혁신 기술 기업의 CEO가 대거 포진 되어있고, 투자계의 찰리 멍거와 손정의가 포함되어 있다.

간략한 CEO 소개와 책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고, 과연 CEO가 어떤 관점으로 이 책을 읽었을까하는 저자의 의견을 포함하고 있다. 관심있는 CEO가 있다면 어떤 책을 선택했는지 찾아봐도 좋고, 관심있는 책들이 있다면 누구의 서재에 있는지 봐도 좋겠다.

관심있는 CEO는 손정의다. 그는 청년시절 간염으로 3년간 입원한 상태에서 3천여권의 책을 읽은 것으로 유명하다. 저자가 뽑은 손정의 서재의 책 3권은 시바 료타로의 <로마가 간다>, 레이 크록의 <사업을 한다는 것>, 후지다 덴의 <유대인의 상술>이다. 손정의는 료마의 명분보다 이익과 실리를 중시하는 생각과, 맥도날드를 프렌차이즈화한 레이크룩의 사업능력과, 일본에 맥도날드를 들여와 성공시킨 후지다 덴의 '일유동조론(일본인과 유대인은 같은 조상을 가졌다)'을 통해 유대인의 돈에 대한 관념을 배운 것이라고 추측한다.

관심있는 책들은 <이기적 유전자>, <총,균,쇠> <죽음의 수용소에서>인데, 이를 서재에 가지고 있는 CEO는 찰리 멍거(1924-)다.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이라면 다 알만한 찰리 멍거는 워렌 버핏보다 6살 많다. 변호사였던 멍거는 버핏을 만나 투자를 하다가 버크셔 해서웨이에 들어간 후 100세가 다 되어 가는 지금까지도 함께 일한다. 버핏과 멍거는 다독을 하는 것도 비슷하다. CEO에 대한 소개는 좀 간략한 편이라 아쉽다. 그러나 언급한 세 권의 정리와 평가는 핵심을 잘 잡고 있다. 읽은 책이라며 정리가 잘 되고 아직 읽지 않은 책이라면 호감을 갖게 한다. 제러드 다이아몬드는 일본어가 고대 한반도의 언어에서 유래했다는 '일한양어동계론'을 주장한 사람이지만, 문명이 좌우로 이동하며 발전하게되었다는 관점은 결국 서구적 관점이라는 것이 한계라고 지적한다. 이기적 유전자를 가진 인간이 이타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근친성있는 집단을 위한 것이고, 죽음의 수용소에서 이타적으로 의료자원봉사를 하기로 한 프랭클 역시 살겠다는 이기적 희망을 이루기 위해 이타적인 행동을 한 것이 아닐까한다. 저자는 다른 결론이라고 했지만 내게는 같은 결론으로 여겨진다.

깔끔한 구성과 쉽게 읽히는 글이 읽기에 아주 편하다. 보통의 책 리뷰는 어떤 연관을 찾기 어려운 책들을 나열하는데, 이 책은 CEO와 책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왜 CEO가 이 책을 읽었을까, 어떤 점에 감동을 받았을까를 추측하고 있어서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성공한 사람들의 책이 궁금하다면 일독하면서 원하는 책 리스트를 적어 두었다가 찾아 읽으면 좋겠다. 같은 책이라도 누구의 관점에서 읽느냐에 따라 책이 다르게 느껴질 것이다. 이미 읽은 책이라도 성공한 사람들의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되는지 찾아보는 재미도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