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다르게 보이는 일본 문화 2 - 56인의 덕후가 바라본 일본 이야기 알면 다르게 보이는 일본 문화 2
강상규.이경수.동아시아 사랑방 포럼 지음 / 지식의날개(방송대출판문화원)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방통대 일본학과 교수들과 '동아시아 사랑방 포럼'의 회원들이 일본 문화에 관한 14개의 주제에 관해 56편의 글을 썼다.

다소 딱딱한 동아시아와 한일관계에 관한 이야기부터 직접 경험하고 느낀 일본 사회생활 이야기들을 짧게 소개한다. 일본어, 학교, 커피와 차, 음식, 문학, 일본의 과거-현재-미래, 스포츠, 애니메이션, 한일관계, 정치와 역사, 글과 그림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일본문화를 다각적인 시각에서 볼 수 있다. 비판적이기보다 애정을 갖고 쓴 내용이 대부분이다.

시티은행 도쿄지점에서 근무하다 이직한 최유리님의 글로 일본의 직장생활에 대해 알 수 있다. 취업활동부터 우리와 많이 다르고, 또한 입사 후 외국인인데도 봐주는 것 없이 일본인처럼 똑같이 대우하는 것에서 좀 힘들긴했지만 차별을 두지 않아서 일원이 된 느낌이라 묘사하고 있다. 사실, 굉장히 힘들었을 것이다. 모국어가 아닌데, 외국인이 일본인처럼 일을 하려면 말이다. 시티은행이면 미국회사이므로 영어를 사용했을 법도 한데, 일어로만 일을 했어야하다니. 일어는 엄청 늘었겠지만 힘들었을 것같다. 3년 후 이직까지 진취적이다.

일본인이 쓴 글도 있다. '나라 국제일본어학교' 교장의 글을 통해 일본인이 외국인을 바라보는 관점이 과거에 비해 친근해졌다는 점이 눈에 띈다. 중국,한국,대만의 유학생이 대부분이었는데, 2010년대 후반부터 베트남과 같은 동남아시아와 네팔, 스리랑카 같은 남아시아 유학생들이 눈에 띄게 많아졌다고 한다. 학교생활만 하지말고, 아르바이트와 홈스테이를 적극 권한다. 언어뿐아니라 일본 문화를 체험해봐야 일본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말에 동의한다.

'대망'의 배경이 되기도 하는 전국시대 영웅에 관한 이야기도 간략하지만 흥미롭다. 다케다 신겐과 우에스기 겐신의 라이벌전과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로 이어지는 각 영웅의 특색과 에피소드를 깔끔하게 소개한다. 이에야스의 신사 '닛코'에 스토리텔링을 더해 관광객을 유치하는 일본의 사례를 가져오자는 제안도 귀담아들을 만하다.

새로운 용어도 배웠는데, '뉴커머'와 '올드커머'이다. 1980년대 이후 일본에 유학하거나 직장을 위해 온 한국인들을 '뉴커머'라 부르고, 예전부터 살고 있던 재일교포를 '올드커머'라 부른다. 굳이 구분해서 부르는 이유가 뭔지 궁금하지만 그런 내용은 없어 아쉽다.

일본문화에 대해 익히 알고 있는 것 보다 새로운 것들을 다양하게 소개해서 유익하다. 그런데 깊이있는 것도 몇 개 있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