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문화 이야기 - 전근대부터 현대까지 빠짐없이 둘러보는
신종대 지음 / 글로벌콘텐츠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근대부터 현재까지의 일본문화를 고찰한 책이다.

일본의 전근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전국을 통일하고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한 250여년간의 에도시대(1603-1867)를 말한다. 일본의 고대는 한반도에서 건너간 도래인들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았고, 중세는 막부들의 싸움으로 혼란스러웠고, 에도시대에 이르러서야 쇄국정책으로 외부의 간섭을 크게 받지 않고 생산성을 높인 덕에 일본 고유의 전통을 만들어나갈 수 있었다.

문화의 가장 기초가 되는 의식주에 대한 설명이 흥미롭다. 기모노(着物)는 입는 것, 걸치는 것이라는 의미로 지금의 기모노 스타일은 에도중기에 나타났다. 기모노를 입을 때 왼쪽이 위로 가야한다. 죽은사람의 경우 오른쪽이 위로 가도록 입힌다. 기모노를 입을 일이 있다면 주의할 일이다. 세끼 식사의 정착과 전통요리도 에도시대에 생겨났다. 간장이나 된장이 사먹는 조미료로 자리잡아서 우리와 같이 어머니 장맛이라는 말이 없다는 점도 특이하다. 일본의 가옥에는 가구를 두지 않는 것이 특징이고, 다다미에는 최소의 면적이 닿도록 앉아야하기 때문에 무릎을 꿇어 앉는다. 온돌은 따뜻한 바닥에 넓게 펴서 앉는 것이 다르다는 관점이 신선하다.

일본의 그림하면, 조닌(도시 부유한 상인들)이 향유한 우키요에가 대표적이다. 육필로 그린 것도 있지만 판화로 대량생산한 것이 대표적이다. 그림의 내용이 미인도, 광대, 파도와 같은 일상의 것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바로 이해할 수있다. 모네, 고흐, 고갱같은 유럽 화가들이 우키요에의 매력에 빠져 자신들의 그림에도 끼워 그리기도 했다는 것은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대량생산으로 찍어낸 우키요에가 만화와 애니메이션으로 이어져 일본이 만화강국이 되는데 기여하였다.

가부키에 대해서도 좀 더 잘 알게 되었다. 가부키는 "음악과 춤, 연기와 연출이 종합된 무대예술이다(259)." 처음에는 여성이 연기하였으나, 중국의 경극처럼 남자배우만 연기할 수 있도록 바뀌었다. 또한 경극의 얼굴 화장색이 인물의 성격을 나타내듯 가부키도 그러하다니 공통점이 많다. 관객들이 일반 시민이어서 가부키의 내용도 다양해진다. 세태를 묘사한 세와모노, 역사적 사건을 각색한 지다이모노, 남녀간의 정사를 다룬 신주모노, 용맹스러운 인물을 주인공으로 한 아라고토 등의 장르가 있다. 흥미로운 것은 정작 에도시대에는 유곽과 더불어 방탕하다고 단속의 대상이었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을 대표하는 전통문화로 인식되어 현재에 이른다. 무엇보다 공연시간이 5시간이라중간에 도시락을 먹어가며 공연을 본다니 대단하다.

대학 교재같은 서술의 책이다. 건조한 문체이지만 이해하기 편하다. 단지 사진 자료가 좀더 풍부했으면 좋았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