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돌, 그리고 한국 건축 문명 - 동과 서, 과거와 현재를 횡단하는 건축 교양 강의
전봉희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동서양의 건축과 우리나라 건축의 역사를 살펴보는 책이다. 나무와 돌은 가장 오래된 건축재료이자 건축의 기본이 되는 재료이다. 저자는 서울대에서 건축 역사와 한국 건축을 가르치고 있다.

책은 4부로 되어있다. 건축문명의 동서양의 차이, 한옥의 구조와 한옥에서 아파트까지 변화한 우리역사 속 건축의 변화 및 미래 한국의 건축에 대해 이야기한다. 거시적이고 미시적인 통찰력이 즐거움을 가져다 주는 책이다.

동서양의 건축의 특징을 선사시대부터 전반으로 훑어가면서 설명하는데 감탄스럽다. 서양의 건축이 주로 돌을 많이 사용하고 화려한 반면, 동양의 건축은 나무를 많이 사용하고 유교의 영향으로 소박하고 검소하다. 서양의 성당과 같은 건축물은 100년이 넘도록 지어져도 비난받지 않지만, 조선시대 경복궁 중건으로 욕을 많이 먹은 것은 이러한 사고방식의 차이다. 그나마 우리나라의 사찰은 단청도 쓰고 화려하게 지을 수 있었다. 못하는 것이 아니라 안한 것이라는 증거가 석굴암의 아치구조와 같은 기술이고 이는 세계 최고이다. 이러한 통찰력은 어디서도 들어보지 못한 것이다.

한옥의 집짓기에 관한 설명은 좀 어렵다. 생소한 용어가 많고 실재로 살면서 경험한 기억이 길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도 구조를 알고 나면 한옥이나 사찰, 궁궐에 가서 어떻게 봐야할지 대강의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처음 알게 된 것은 한옥을 짓는 법이 조립식 건축법이어서 광화문, 덕수궁의 대한문, 사직단의 정문들을 이리저리 옮겨놓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일제 강점기에 이러한 문들이 이리저리 옮겨다니는 것에 대해 이해하지 못했는데 오랜 궁금증을 풀어주었다.

가장 흥미로운 점은 1960년대 집장수들이 지은 한옥에 대한 설명이다. 기존 주문형 한옥에서 기성품 한옥으로 바뀌면서 광고도 하였고, 도시의 모습도 바꾸어 놓았다. 단지로 형성된 한옥은 북촌, 서촌, 돈암동, 신촌, 정릉, 전주, 경주, 광주,청주 목포 등지의 한옥밀집지역이다. 지금 우리가 보러가는 북촌 한옥마을이나 전주한옥마을이 이 시기에 생겨난 것이다. 기존의 한옥집들은 꼬불꼬불한 골목을 따라 찾아야하는데, 이 시기의 한옥들은 길을 먼저 내고 한옥들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길이 반듯하다. 북촌에 가면 길이 일자로 나있는 걸 알 수 있다. 정말 아는 만큼 보인다. 이러한 개량한옥, 도시형 한옥은 1970년대 이후에는 양옥과 아파트로 대체되었다.

건축사를 통해 우리 건축 문화를 이해하고 그 위대함에 자부심을 가질 수 있다. 예로 선사시대 쪽구들로 부분적으로 사용하다 이것이 발전해 '캉'이라는 이름으로 한반도, 중국, 연해주, 일본 서부까지 분포하지만 온전한 온돌은 한반도만 발견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만 뛰어나다는 생각은 옳지 않다. 서로 교류하면서 발전되어온 시대의 문화가 가장 위대했음을 증명한다. 우리 역사상 가장 개방적이고 국제교류가 많았던 통일신라와 여말선초 시기에 위대한 건축물이 많았던 이유다. 역사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교훈이다.

알거리가 많은 책이다. 건축의 관점에서 서양사, 동양사, 한국사를 아우르고, 한옥의 구조와 같은 기본적인 설명부터 현재의 아파트까지 변화하는 과정의 이야기를 다 알려준다.

모든 사람이 읽으면 좋을 책이다. 강추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