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명승 - 이야기로 풀어낸 중국의 명소들
김명구 외 지음 / 소소의책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한국중국소설학회 21명이 중국 동북 끝인 하얼빈에서 서북의 둔황까지 각 지역을 맡아 소개하는 책이다.

각 지역에 얽힌 사연과 역사적 변화, 해당 도시를 배경으로 한 소설과 영화, 시를 곁들여 설명하는데 중국, 일본, 우리나라 작가들의 작품을 다양하게 감상할 수 있다. 무엇보다 명승의 사진 자료가 풍부해서 보는 즐거움이 크다.

이 곳이 중국인가 싶게 유럽적인 풍경이 펼쳐지는 하얼빈과 칭다오의 팔대관은 전혀 예상밖이었다. 하얼빈의 중앙대가와 성소피아성당은 러시아의 분위기를 담고 있고, 칭다오의 팔대관은 독일을 비롯한 유럽 풍의 건물들이 해안을 따라 아름답게 펼쳐진다. 항저우 서호의 누각처럼 중국적인 건축물만 예상했다가 이국적인 풍경에 중국을 많이 알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새삼든다.

가장 흥미로운 명승은 푸젠의 토루이다. 놀랍게도 현대의 아파트처럼 생긴 푸젠의 토루는 거대한 공동생활 공간이다. 원래는 방어를 위해 출구를 하나만 두고 가운데에 사당을 두고 둥그렇게 혹은 사각형으로 둘러싸도록 만들었다. 건물은 하나가 보통 4-5층이다. 내부에는 여러 가정이 나누어 사는데, 한 가정이 수직으로 1-5층까지를 쓴다는 것이 특이하다. 500-600명 정도가 함께 산다. 구성원은 북쪽에서 내려온 한족으로 '객가'로 불린다. 배타적인 성향 때문에 '동양의 유대인'이라 불린다. 토루 객가 출신으로 주희, 쑨원, 모택동, 등소평 등이 있다. 현대에 이를 모방한 건축물이 덴마크에 있다는데, 대학생 기숙사로 사용 중이다. 토루는 2008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대만, 홍콩, 마카오를 중화명승에 포함시킨 것이 특이하다. 일본의 식민지였던 대만, 영국의 조차지였던 홍콩, 포르투갈의 조차지였던 마카오는 제국주의 국가들의 점령으로 중국 본토와는 사뭇 다른 정치색과 문화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마카오는 1999년 반환되면서 친정부 성향을 보이고 있다지만, 대만과 홍콩은 중국에 속하기를 원하려는지 모르겠다. 무엇보다 홍콩의 일국양제가 2046년에는 끝나고 완전히 중국으로 소속되는데 중국의 홍콩 장악은 이미 많이 진행되고 있다.

전문적이지만 무척 재미있는, 예상과는 달리 전혀 뻔하지 않은 중국의 명승지 소개책이다. 각 명승지를 10장 내외로 짧게 소개하고 있어 좀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뒷 편에 소개된 참고문헌을 이용하면 좋겠다. 중국을 좀더 잘 알게 되고 중국에 한층 가까워질 수 있도록 잘 만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