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하는 철학 공부 EBS 30일 인문학 1
윤주연 지음 / EBS BOOKS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을 공부하면 늘 만나는 수많은 서양 철학자들 이름 앞에서 '누구였드라?'하고 고민한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그나마 열심히 들여다본 덕에 누가 무엇을 주장했는지 알지만, 중세 이후 근현대로 넘어 오면 머릿 속에 너무 많은 서양철학자들이 서로 혼돈의 상태로 섞여 있다. <처음하는 철학공부>는 이런 나의 혼돈을 조금 잡아 주지 않을까해서 선택한 책이다.

책은 고대 이전부터 고대, 중세, 근대, 과도기, 현대로 구분하여 각 시대의 대표적 철학자들을 키워드로 설명한다.

서양 철학사를 기본으로 목차를 짰지만 '쉬어가기' 고대편에서 동양의 철학자에 대해서 소개한 것이 마음에 든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와 비슷한 시기에 공자와 맹자가 활동했는데, 플라톤과 공자가 이상적인 것에 대해 고민하였다면, 아리스토텔레스와 맹자는 좀더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문제에 대해 고민한 점이 유사하다. 나아가 소피스트들의 등장과 제자백가의 활약이 뒤따랐다고 지적한 점도 흥미롭다.

"철학은 시대마다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 물어왔다."(198)

철학이라는 것이 인간에 대한 연구라는 것을 지속적으로 일깨워준다. 시대에 따라 혹은 사회적 배경에 따라 고대에는 실천 중심의 철학이, 중세에는 신(종교) 중심의 철학이, 근대에는 이성중심의 철학이, 현대에는 다름이 공존하는 철학이 큰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모두 인간에 대한 연구라는 것이 공통점이다.

이 책은 시대 별로 많은 철학자를 소화하려고 시도하지 않아서 좋다. 시대 당 대여섯 명을 선택해서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각 철학자 소개의 도입 부분에서 저자는 우리 주위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이야기로 가볍게 시작한다. 그 이야기는 철학자의 사상과 긴밀히 연결되어 결말까지 이르는데 이러한 설명방식은 멀고 어렵게만 느껴졌던 철학자의 사상이 이해가능한 것으로 느껴진다. 이를테면, 영화<기생충>에서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계급에 대해 설명한다든가, 저자의 반항적인 중2의 아이를 보면서 레비나스의 '타인은 절대 나와 동일한 관점을 가질 수 없는 존재다. 나의 의견에 타인의 동조를 바라는 것은 폭력이다(172)'는 말로 위로를 받았다는 이야기가 그러하다.

철학을 처음 배우고자하는 사람이나 흩어진 철학사상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는 사람이 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