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제 그거 봤어? - TV 속 여자들 다시 보기
이자연 지음 / 상상출판 / 2021년 8월
평점 :
대중문화 탐구인이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저자는 잡지의 콘텐츠 에디터로 일했다. 살짝 '무슨 일을 하는 거지?'라는 생각이 드는 직책이다. '편집장이면 잡지 전체를 다 총괄하는 것 같은데, 콘텐츠(내용)만 책임지는 건가?' 자세한 소개도 없고, 검색을 해도 잘 알 수 없어, 일단 책을 읽어 보기로 한다.
예능이나 드라마와 같은 TV 프로그램에 나타난 여성을 여성주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무의식 중에 스며드는 남녀차별적 요소들을 끄집어 내어 아니라고 꼬집는다. 굳이 이렇게 하는 이유는 다음 세대 여성들을 위해서라고 하지만 사실은 차별을 몰고 가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남성들을 위한 책이기도 하다. 여성만 자각하고 있어서는 해결되지 않을 문제이므로.
가장 먼저 언급한 "하이킥 시리즈에는 책상이 없다"는 이 책이 어떤 성격인지 잘 나타내준다. 극 중에서 여자의 방에는 책상이 없다. 공부와 담을 쌓은 남성들도 있는 책상은 아무리 한의사와 같은 전문직 여자에게는 없다. 화장대만 있을 뿐이다. 놀라운 발견이다. 웃고 즐기는 가운데 눈여겨 보지 않은 부분이고 그러려니 스며드는 이상하지 않은 장면이었다. 생각하지 못했는데 '정말, 그러네'라는 깨달음에 씁쓸하다.
유사한 프로그램의 다른 대응 또한 흥미롭다. 고민 상담 프로그램 <무엇이든 물어보살>과 <연애의 참견>의 대응이 대조적이다. 한 여자를 두 남자가 사랑한다는 고민에서 서장훈은 첫 마디로 "걔 예뻐?"라고 묻는다. 중요한 요소인가? 반면 <연애의 참견>에서 데이트 폭력의 전조 증상에 대해 곽정은은 현재 여성의 상황과 과거의 남자친구의 전조증상을 짚어 주며, 앞으로의 비극을 막기위해 그 굴레에서 벗어나라고 또박또박 조언한다. 고민자는 상당히 진지하다. 그에 대응하는 조언자 역시 그렇게 진지해야하지 않을까. 한쪽 이야기가 아닌 양쪽 이야기를, 현재의 문제만이 아닌 과거의 분석과 앞으로의 대처를 짚어줘야하지 않을까.
다양한 예능과 드라마는 만드는 PD와 작가 개인의 생각이 TV에 무비판적으로 보여지는 경향이 있다. 조금은 삐딱하게 "왜? 그래야하지?"를 생각하며 볼 수 있어야한다. 그래야 성차별에 대한 시대착오적인 생각들이 개선될 수 있기 때문이다. 비교적 씩씩한 여성들이 많이 등장하는 드라마가 많아지고 있지만, 눈에 보이지 않고 의식하지 못하는 성차별적 요소들이 불편해질 날이 오길 바란다.
아쉬운 점은 익숙하지 않은 단어들에 대한 친절한 설명이 없다. 맨스플레인(mansplain: man+explain: 남자가 여자에게 의기양양하게 설명하는 것, 28) 같은 신조어나 입봉작(감독 등이 처음만든 영상) 같은 말은 이 분야가 아닌 사람들에게는 조금 낯설다. 쿠션어처럼 "'넹', 알겠습니당'처럼 말끝에 부드러운 자음을 덧붙이거나 '죄송하지만'으로 이야기를 시작하는 경우가 가장 대표적이다(114)"와 같은 설명이 필요하다.
날카로운 지적에 당황하며 읽은 책이다. 모든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