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어의 미국주식 무한매수법 - 레버리지가 아니면 평범한 인생을 바꿀 수 없다
라오어 지음 / 알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식투자를 시작한지 몇 년이 되니 어느 순간 기업분석, 시황분석, 차트분석이 부담스러워진다. 이렇게 많은 시간을 쏟아도 좋은 기업을 선택하는 것도 어렵고, 보유 중인 종목도 언제까지 보유해야할지도 모르겠다. 편하게 투자하는 방법이 없을까?

'미국주식 무한매수법'은 3배 레버리지 미국 ETF를 꾸준히 매수해 평단가를 낮춰 반등했을 때 수익을 실현하는 투자법이다. 원금을 40분할하여 TQQQ, UPRO, LABU, TNA, FAS와 같은 3배 레버리지 ETF를 매일 매수한다. 물론 하나만 하기보다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하락하면 더 많이 살 수 있고 상승하면 매도해서 이익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매매타이밍을 위해 밤 늦도록 지켜보고 있을 필요가 없다. 매수는 LOC(Limit on Close: 장마감시 유리한 가격으로 매매가 체결되는 것)로, 매도는 지정가로 걸어두고 자면 된다.

이 방법은 여러 면에서 기존의 투자 상식을 거스른다. 그 중 가장 걱정스러운 부분이 변동성이 높은 3배짜리 ETF를 선택하는 것이다. 오르면 3배지만 내릴 때도 3배라 조금 겁이 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ETF는 쳐다보지도 말고 하게되면 반드시 단타로만 할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ETF자체가 이미 분산투자되어 있고, 어느 정도 변동성이 없고서는 투자기간이 길어지게 되기 때문에 이 투자법에는 적절한 선택이다.

이 투자법이 마음에 드는 부분은 수익을 실현하면서 지속적으로 투자하는 것이다. 평단가의 10%가 되면 전량 매도하여 이익을 실현한다. 사실 복리의 마법으로 계속 재투자하면서 주가가 우상향하면 눈덩이처럼 불어나서 좋지만, 주가가 하락할 때는 한번에 큰 손실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복리투자라고 다 좋은 것은 아니다. 수익이 발생했으면 떼어놓고 다시 투자하는 것이 현명해 보인다.

정액법은 평균 매수단가를 지속적으로 낮추는 방식이므로 정량법보다 낫다. 매일 같은 수의 주식을 사는 정량법보다 매일 같은 금액에 맞춰 주식을 사는 것이 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흥미로운 책이다. 강하게 주장하지 않는데도 굉장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시도해보고 싶은 방법이다. 나아가 '월50만원 투자로 10년만에 10억 만들기'라는 밸류 리밸런싱(VR)을 통한 장기투자도 현재 진행중이라고 하는데 공부해보고 싶은 방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