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장을 위한 회계 - 일 잘하는 팀장은 숫자로 일한다 팀장의 서재 3
다니구치 사토시 지음, 박재영 옮김 / 센시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 회사를 다닐 때 본사에서 상사가 오면 들고 들어가야할 자료는 대부분 숫자이다. 평소 월별, 분기별, 반기별, 년별 리포트를 지속적으로 보고하기 때문에 새삼스럽게 숫자를 다 설명할 필요는 없지만, 유달리 튀는 숫자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과 더불어 이유를 들어 해명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 팀장들은 자기 비즈니스의 기본 숫자들은 외우고 있어야하고 회계를 이해해야한다. 팀장을 위한 회계가 꼭 필요한 이유이다.

저자는 공인회계사이자 재무컨설턴트이고, 기업과 대학을 오가며 활동하고 있다. 숫자를 알면 회사를 아는 것이라고 강조하는데, 팀장은 특히나 회사의 의사결정에 개입하므로 회계는 기본이다.

일본기업의 경우 3년 정도의 중기경영계획을 세우는데, 회사 최상위 조직에서 하부 사업부까지 잘 공유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기경영계획은 과거 실적을 점검하고, 경영이념과 목표를 명시하고, 경영전략(사업 포트폴리오, 제품개발 로드맵, 중요사업전략 방향성 제시, 사업평가지표)를 수립하여 3년 후 도달할 숫자로 된 목표를 정하고 공유해야한다.

이러한 회사의 계획을 실행하는데에는 팀장의 역할이 중요하다. 중기경영계획을 세울 때 팀장은 예산(매출액, 경비,이익)을 연단위로 세워야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팀원들과 공유해야한다. 목표숫자가 결정되면 팀장을 중심으로 Plan-do-check-action(책정-실행-분석-개선)의 사이클을 월별로 진행한다. 집행하면서 목표와 차이가 생기면 CVP(비용, 매출, 이익; 손익분기점)분석으로 남은 기간동안 어떻게 매출을 올릴 것인지 혹은 비용을 줄일 것인지 결정해야한다. 숫자뿐 아니라 전략 평가도 필요한데, BSC(균형성과관리지표)로 정성적인 KPI(핵심성과지표)를 정하고 이를 달성한다. 예를 들어, 고객만족을 위해 내부 업무프로세스를 어떻게 혁신할지, KPI를 성취하려면 어떠한 직원교육이 필요한지를 목표설정한다.


저자가 강조하듯이 팀장이 예산과 목표수치를 계획하고 집행하는데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으므로 회계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M&A와 자금조달과 같은 전문적인 분야의 회계까지 알아야할 필요가 있을까 의문이다. 그저 참고로 알아두면 좋을 정도의 전문적인 분야이다.

일본 회사의 불분명한 책임소재와 타 부서간의 협조부족을 지적한다. 좀더 건전한 기업을 만들기 위해서는 목표수치에 대해 책임소재를 분명히하고, 전략부서와 경리부서 간의 정보공유는 물론 부서간 인재이동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이 책은 팀장뿐 아니라 입사 초년생도 읽으면 좋을 책이다. 회사가 돌아가는 상황을 익힐 수 있고 나아가 자신의 회사를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회계나 경영학을 전공하지 않은 초년생이라면 재무제표나 손익계산서, 현금 흐름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없이 용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먼저 공부하고 읽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