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 제로 편 - 지혜를 찾아 138억 년을 달리는 시간 여행서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개정판)
채사장 지음 / 웨일북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문에서 이 책의 등장인물은 위대한 스승들이고, 중심소재는 거대사상이며, 결론은 세계와 자아의 통합으로서의 일원론이라고 밝힌다.

결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7개의 주제인 우주, 인류, 베다, 도가, 불교, 철학, 기독교로 구성하여 설명한다. 138억년전 우주의 생성부터 인류의 탄생과 문명의 시작에 관한 설명을 한 후에 기원전 5세기에 나온 위대한 스승들의 가르침을 고찰한다. 베다, 도가, 불교는 동양의 관점에서, 철학과 기독교는 서양의 관점에서 세계와 자아를 어떻게 보았는지 설명한다.

무리지만, 요약해보자. 일원론을 믿던 동양인들은 근현대사에서 서양의 승리를 통해 서양의 이원론을 학습하게 되었다. 반대로 플라톤 이후 지속적으로 발달해온 서양의 이원론은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원론을 받아 들이는데 칸트의 관념론이 그 시작이다. 일원론에서 세계는 내가 의식하는 것이다. 세계는 내가 눈뜬 것과 동시에 생성되고 눈 감는 동시에 소멸한다. 우파니샤드의 범아일여, 도가의 도와 덕의 일치, 불교의 일체 유심조, 칸트의 관념론, 기독교의 신비주의가 모두 일원론으로 같은 가르침이다.

왜 일원론을 이해하여야하는가? 저자가 제시한 여러 이유 중에서 하나를 꼽으라면, 서양의 이원론 교육을 받은 현대의 우리 한국인들은 이원론에 익숙해져있어서 세상의 목소리에 휘둘리고 나의 내면을 들여다보려 하지 않는다. 기원전 5세기 동양의 스승들이 가르쳐준 "세계는 자아의 마음이 그려내는 것이고 자기의 내면으로 깊이 침잠했을 때 비로소 세계의 실체와 조우할 수 있다(388-389)"는 가르침을 통해 나를 들여다 보자. 그리고 남들에게 너그러워지자라는 말이 와 닿는다.

저자는 우주와 인간의 탄생부터 동서양의 사상과 종교를 아우르는 엄청나고 방대한 지식을 소개한다. 놀라운 것은 이를 쉽게 정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초반 세 장인 '우주', '인류', '베다'에 관한 이야기는 생경하기도 하고 어려운데, 쉬운 비유를 들어 이해를 돕는다. 또한 잘 정리된 도식과 그림도 유머러스하고 정감있어서 마음이 말랑말랑해진다. 과학자 이름도 많고, 이론도 많고, 용어도 낯선데, 가끔 몇 가지는 꼭 기억하라고 쪽집게 과외선생처럼 찍어 준다. 뒤에 가서 나올 것이라고. 용어의 홍수에 빠지지 않도록 중요 단어를 찝어주어 중요하고 그렇지 않음을 구분을 할 수 있도록 해서 마음에 든다. 또한 최소한 이것만 알고 지나가자고 위로한다.

독자에게 자꾸 질문을 던진다. 술술 읽다가 느닷없이 질문을 던지면 잠시 멈추고 답을 생각한다. 대답을 못하면 계속 읽어나가면 된다. 멋진 책이다.

"근현대사의 역사가 서양의 승리로 끝나면서 동양의 근현대는 서양을 배우고 모방하는 역사가 되었다. ..(중략)..결과적으로 오늘날 우리는 동양인으로 태어난 훌륭한 서양인이 되었다. 서양의 세계관 위에 당당히 발을 딛고 살아간다. 이원론과 실재론의 명칭은 낯설지만 그 내용은 매우 상식적으로 느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중략) 반대로 동양의 일원론적 세계관은 너무도 낯설게 느껴진다. (중략) 우리는 더이상 기억하지 않게 된 위대한 스승들을 다시 불러낸 것도 사실은 서양인이었다(438-439)."

이렇게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된 것만으로도 이 책은 그 가치를 다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