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홉 명작 단편선 2 체홉 명작 단편선
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 지음, 백준현 옮김 / 작가와비평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톤 파블로비치 체홉(1860-1904)은 러시아의 사실주의 소설가이자 극작가이다. 의대생 시절부터 용돈 벌이로 단편을 쓰다가 중편, 희곡으로 영역을 넓혀갔다. 르포르타주 <사할린 섬>을 통해 제정러시아의 감옥제도의 실태를 담은 작품도 내놓았다. <갈매기>, <바냐 아저씨>, <세 자매>, <벚꽃 동산>은 그의 4대 희곡으로 무대에 올려 성공을 거두었다. 500여 편의 작품을 남기고, 44세에 결핵으로 사망하였다.

이 책에는 체홉의 단편 7편을 실었다. <뚱뚱이와 홀쭉이>, <카멜레온>은 관료주의에 복종하는 인간상을 풍자하였고, <아뉴따>, <약사의 아내>, <불행>에서는 자아실현을 하지 못하고 답답해하는 여성상을 그리고, <목위의 안나>에서는 어느 정도 자아를 실현한 여성의 모습을 보여주고, <약혼녀>에서는 마침내 전통을 뿌리치고 공부를 하기 위해 도시로 탈출하는 여성을 그렸다.

인간의 모습을 관찰하며, 어리석음을 꼬집는 체홉의 글은 노골적이지 않고 그저 던져만 준다. <뚱뚱이와 홀쭉이>에서는 아무리 격이 없던 친구라도 오랜만에 만나 직급이 자신보다 높음을 확인한 후에는 바로 비굴해지는 모습을 보며 안타깝다. <카멜레온>에서는 사람의 손가락을 문 개의 주인이 누구냐에 따라 잘잘못의 책임을 바꾸는 경찰서장의 태도가 우스꽝스럽다. 독자는 가만히 읽으면서 판단을 내리지만 체홉은 그저 제시만한다. 그래서 19세기 말의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진부하지 않고 세련되어 보인다.

무엇보다 여성의 이야기를 많이 다루는 점이 특이하다. 경직된 19세기 말 러시아 사회에서 저자는 여성의 지위가 높지 않다고 생각한 듯하다. 여성들은 지위를 높이기 위해 능력을 길러야하고, 그러기 위해 여성 역시 배워야하고 일해야한다는 저자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 <약혼녀>의 나쟈는 결혼을 앞둔 처녀이다. 전통적으로 결혼해서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살아가는 할머니, 어머니 세대를 보면서 답답함을 느끼던 차에 싸샤의 조언으로 갈등을 하다가 그와 함께 모스크바로 떠난다. 문득 영화<맘마미아>의 마지막 장면에서 결혼을 앞둔 딸이 섬을 떠나는 모습이 연상된다. 나쟈는 모스크바에서 더 성숙해지는 자신을 느끼며 다시는 고향에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 다짐한다.

러시아 문학은 읽은 적이 없어서 러시아 인명과 지명에 낯설었지만 신선하다. 19세기 말 러시아인들의 삶의 모습을 단편으로 응축적으로 재치있게 표현한 체홉의 작품은 뭔가 이야기마다 숨겨둔 교훈이 있어 보인다. 매 작품마다 작가가 말하려는 것이 무엇일까를 잠시 생각하게 한다. 유머와 재미를 잃지 않는 작품이어서 누구든 즐길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