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돈의 시나리오 - 계획이 있는 돈은 흔들리지 않는다
김종봉.제갈현열 지음 / 다산북스 / 2021년 1월
평점 :
투자자는 자신만의 시나리오를 가져야한다. 시나리오란 '어떠한 계획으로 돈을 벌 것인가?'하고 자문하는 것이다. 저자는 지난 10년간 공부하고 경험해서 만든 시나리오로 지금도 수익을 내고 있다. 저자의 시나리오를 들어보고 내 시나리오를 만드는데 도움을 받아보자.
책은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투자자는 시간을 사는 사람이다: 영원한 돈을 만들기 위한 준비, 2장 영원한 돈을 만들어 줄 이름, 지수: 시나리오를 만들어주는 단 하나의 만능키, 3장 지수를 읽으면 돈의 흐름이 보인다: 지수가 안내하는 다양한 돈의 세계, 4장 당신의 돈에 계획을 더하라: 난생처음 써보는 돈의 시나리오, 5장 이 시나리오에 가슴뛰지 않을 리 없다: JB가 쓴 돈의 시나리오 공개. 저자의 시나리오는 5장이 되어야 나온다.
저자는 15년간 전업투자를 하면서 투자의 재료를 '지수'로 삼았다. 지수는 공정하게 누구에게나 공개되고, 수치화가 가능하며, 반복되는 특성이 있다. 특히 지수는 특정 사이클을 반복하는데, 코스피가 만들어진 1980년부터 현재까지 여섯 차례의 상승과 다섯 차례의 하락을 반복하고 있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 주식으로 돈을 버는 것이라면, 언제 싸게 살 수 있는가? 하락기는 '위기'라는 이름으로 오며 지수가 반토막이 난다. 이때 매수하면 된다. 2020년 코로나19 위기도 저가에 매수할 수 있는 기회였다.
위기에 매수를 함과 동시에 매도와 최악의 위기대응에 대한 시나리오 역시 갖고 있어야 한다. 매도는 위기에 매수해서 1년이상 보유하며 수익이 50%이상 나기 시작하면 분할 매도한다. 매도전략은 30% 수익시 보유주식의 30%를 매도하고, 50%수익시 나머지 30%를, 70%수익시 마지막 40%를 매도한다. 그러나, 30%수익 후 매도했는데 다시 가격이 내려가면 매수자리에서 전량매도한다.
적립식 펀드의 전략도 유익하다. 소득의 10%를 매달 60개월(5년)을 납부한다. 목표수익률 10%, 20%, 30%, 40%, 50% 구간에서 20%씩 매도한다. 예를 들어 30만원씩 20회 납입후 10%수익을 얻었다면, 660만원(600만원원금+수익 60만원)의 20%인 132만원을 인출해 따로 모으면서 20% 구간이 올 때까지 지속한다. 수익금까지 함께 납입하며 복리로 활용하는 것도 좋다. 즉 60만원을 60개월로 나눈 1만원을 더해 31만원을 납입한다.
많이 아는 것보다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지만, 관련 책 10권 정도는 읽어야한다고 조언한다. 그 중 2권은 투자에 필요한 용어를 잘 설명해 주는 것, 나머지 8권은 4분야로 나누어 (1) 해당 분야에 큰 성공을 거둔 사람의 과거 책, (2) 하나의 투자물을 각기 다른 투자방법으로 소개하는 책을 2권 이상, (3) 내 투자물의 상품가치가 내렸을 때 나온 책, (4)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다. 저자의 독서 리스트를 구체적으로 공개하면 좋았을 것 같다. 초보가 알기에 무슨 책이 어떤지는 읽어보기 전에는 어렵기 때문에 시중에 나와 있는 책을 많이 읽어 최종 정제하는 수 밖에 없겠다.
이 책은 주식뿐 아니라 부동산, 창업, 비트코인을 함께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주식에 관심이 많은 독자에게는 좀 더 상세한 설명이 부족한 것이 아쉽다. 이를테면, 위기 전에 이미 주식을 보유한 경우 위기에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매수 후 이익 실현한 돈을 다른 종목에 어떻게 투자하는지, ETF나 다른 투자에 관한 상세한 설명이 부족하다. 저자가 예시로 포트폴리오를 짜서 설명해주거나, 일련의 과정을 설명해 주었다면 더 이해하기 쉬웠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책에서 잘 언급하지 않는 매도에 관한 조언을 들을 수 있어서 유익하다.
투자의 원칙을 세울 때 읽으면 좋을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