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류 문명의 보물 고대 그리스 - 전 세계의 박물관 소장품에서 선정한 유물로 읽는 문명 이야기 ㅣ 손바닥 박물관 2
데이비드 마이클 스미스 지음, 김지선 옮김 / 성안북스 / 2020년 3월
평점 :
박물관은 너무 넓어서 한 층을 다 보고 나면 집중력이 떨어지는 편이다. 차라도 한 잔 마시고 다시 관람을 해야하는데, 이 책은 책장만 넘기면 고대 그리스 유물들이 쏟아져 나온다. 실물을 보는 것 만큼 실감이 안날 것이라고 실망할 필요가 없다. 실물크기를 가늠해볼 수 있도록 사진 옆에 손바닥이나 전신 모양의 표시가 유물의 크기를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스 유물들은 그리스 뿐만 아니라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터키 등 10개국의 박물관과 미술관에 소장중인데, 흩어진 고대 그리스의 유물 200점을 보러 떠나보자.
고대 그리스는 기원전 20만년 전부터 로마에게 점령당해 망하는 기원전 31년까지이다. 이 책은 시대를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각 시대 별 개요를 설명한 후 유물 하나하나를 설명한다. 소개된 유물을 통해 고대 그리스의 사회상, 예술, 정치와 전쟁, 의례의 모습을 볼 수있다. 다섯 부분의 시대별 특징을 간단히 정리해보자.
1) BC약20만년~2050년경 구석기 시대에서 초기 청동기말까지: 이 시기의 유물은 우리나라와 유물과 비슷하다. 구석기 수렵생활을 위해 필요했던 양면 손도끼나, 신석기 농경이 시작되며 제작된 토기, 청동기의 무기들이 낯익다.
2) BC약2050년경~1190년경 에게해 중기와 후기 청동기까지: 미케네 귀족들이 엄청난 부를 가지고 대규모 궁전유적지를 남긴다. 후기 청동기 화산폭발로 보존된 축소판 벽화에는 선사시대 소도시의 삶을 알 수 있다. 무덤에서 나온 아가멤논 가면(아래 사진)은 청동기 시대의 상징적인 유물로서, 호메로스 <일리아스>에 등장하는 미케네 지배자의 이름을 빌려 명명한 것으로 예술적으로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3) BC약1190년경~700년경 궁전기 후 청동기 및 초기 철기 시대까지: 신전이 나타나고, 지중해 너머로 교역과 식민화가 시작되며, 그리스 알파벳의 채택으로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오디세이', 헤시오도스의 '신통기', '노동과하루하루' 같은 작품들이 나온다.
4) BC약700년경~323년경고졸기와 고전기: 도시국가(폴리스)의 출현과 새로운 도리아와 이오니아 건축양식의 신전과 건물들에 조소가 등장한다. 역사적으로 5세기 펠로폰네소스전쟁(아테네 vs. 스파르타)을 치루고, 마케도니아가 등장하는 시기다.
5) BC약323년경~31년경 헬레니즘기: 아시아 원정을 통해 그리스의 영향력을 동방에 까지 뻗친 알렉산드로스 왕이 죽은 후로부터 로마에 멸망당할 때까지의 시기로 헬레니즘 시대라 한다. 후계자들 간의 분열로 이집트, 마케도니아, 아시아 지역에서 그리스의 영향을 받은 문화가 발달한다.
이 책은 고대 그리스 유물들을 역사와 함께 감상할 수 있는 좋은 책이다. 책을 읽기 전 고대 그리스 역사를 인터넷으로 검색해서 간결한 흐름을 옆에 적어 두고 읽거나, 유투브 동영상을 찾아 개괄적인 역사를 이해한 후에 읽으면 도움이 된다. 그러나, 직역인 듯한 번역으로 매끄럽게 읽히지 않는 점은 좀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