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소년, 문학소녀를 만나다 - 한국문학 1 - 신화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진경환.정출헌.고미숙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2월
평점 :
절판


지금은 대학생이 된 딸 아이가 고등학교 때 읽었던 책이다. 곁에서 지켜 보기만 하다가 읽게 되었는데, 수준이 상당하다. 저자 중 한 분이 수유너머의 고미숙님이어서 만만치 않겠다는 생각을 하긴 했다. 책의 내용은 한국의 대표 고전문학작품을 시대별로 나누어 분석한다. 문학 작품 분석과 작품의 시대 배경 및 당시 문학을 향유했던 사람들을 둘러싼 사회상을 분석한다. 역사, 정치, 사회 등 전방위로 문학 작품을 살펴본다. 제목처럼 논리와 문학을 겸한 분석 작업이다.

이 책은 2개의 시리즈 중 1권이다. 책의 구성은 2부로 되어 있다. 1부는 신화시대에서 고려시대까지 구비문학에서 기록문학으로, 2부는 조선시대의 국문문학의 출현과 문학의 역동성을 다룬다. 고등학교 때 소리내어 외웠던 작품들도 있고, 대부분 익히 알고 있는 작품들이지만, 새삼 다각도로 분석되니 참으로 얕게 배웠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세 명의 저자(진경화, 정출헌, 고미숙)는 각각 돌아가며 소논문과 같은 보고서를 올리는데, 가장 먼저 '신화는 허구인가, 역사적 사실인가?'라는 다소 논쟁거리가 되는 제목의 글이 흥미를 끈다. 실제로 궁금했던 질문이고, 어떤 대답일까가 궁금했다. 저자 정출헌은 신화를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상상력의 두 맥락에서 함께 읽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합리적 답안을 제시한다. 왜냐하면, 단군신화의 경우, 고려후기 일연의 <삼국유사>에서는 이야기로, 역사서인 <제왕운기><삼국사절요><동국통감>에는 역사 사실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고려시대 후기의 사회상을 알 수 있는 작품들도 소개된다. 영화 '쌍화점'에 나와서 잘 알려진 고려시대의 속요 <쌍화점>은 원래 백성들이 상류층의 부도덕함을 풍자하려 만든 것이지만, 고려 후기 방탕한 충렬왕의 환심을 사기위해 간신들이 문란한 내용만을 남긴 가사를 남장한 기생들에게 부르게 한 것이라고 한다. 쌍화점은 만두가게를 의미하는데, 오늘날의 '극장식 레스토랑'처럼 쇼도 보고 음식도 먹으며 남녀가 어울리는 장소로, 원나라 압제기에 들어온 외래 문화(아랍인들)의 문란한 영향을 받은 것이다. 반면, <청산별곡>이나 <사모곡>에 보이는 서민들은 지배층의 수탈과 몽골침입이라는 이중고 속에서 고향을 떠나 떠돌아야하는 아픔을 보여주는 시대상을 반영하니 애닯다.

조선시대의 독특한 한글기록문학도 흥미롭다. 조선시대의 역사 사건은 야사나 정사 모두 보통 한문으로 기록했다. 그러나, 상류층 여성들에 의해 한글로 기록된 문학도 있으니, 이는 사대부 남성들이 한문을 숭상하는 반면, 여성들은 한글을 생활 속에서 사용하였기에 뛰어난 작품의 성취를 이룰 수 있었다. 세 가지 작품이 대표적이다. 인목대비의 측근이 저술한 것으로 추정되는 인목대비의 고초를 저술한 <계축일기>, 영조가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둬 굶겨 죽인 이야기를 사도세자 비인 혜경궁 홍씨가 회상하며 저술한 <한중록>은 당대 궁중 풍속을 잘 묘사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인조가 청태종에게 항복한 병자호란을 50여일간의 일기형식으로 저술한 <산성일기>는 국가적 치욕에 대한 기록이자 작자의 감정을 표현하고 있는 문학적으로 높이 평가받는 저서다.

문학을 시대적 사회적 배경과 더불어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싶은 사람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