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울어진 교육 - 부모의 합리적 선택은 어떻게 불평등을 심화시키는가?
마티아스 도프케.파브리지오 질리보티 지음, 김승진 옮김 / 메디치미디어 / 2020년 3월
평점 :
절판


북유럽의 아이들은 비교적 행복지수가 높다. 복지국가이기 때문에 어른이되어 무슨 직업을 갖더라도 비슷한 경제적 보상이 주어지므로, 학업 스트레스가 높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한국이나 중국과 같은 나라의 아이들은 좋은 대학을 가야 좋은 직업을 얻고, 그에 맞는 경제적 보상이 주어지므로,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은 어린 시절을 보내야 한다. 아이들 뒤에서 그들을 양육하는 부모의 자녀양육 방식도 국가에 따라 달라지는데, 다른 요인은 없을까? 있다면, 어떤 것이 있을까? 이 책은 서로 다른 나라에서 성장한 두 명의 경제학자가 시대별, 나라별, 사회계층별로 부모의 양육방식이 달라지는 것을 경제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책은 3부로 구성되어있다. 1부는 부모의 양육방식을 시대별, 국가별, 사회별 차이로 나누어 경제적 요인을 살핀다. 2부는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양육의 변화를 경제적 관점에서 관찰한다. 3부는 양육의 미래에 대해 알아본다.

저자들은 부모의 자녀양육을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자녀에게 복종을 요구하는 '독재형', 자녀의 의견을 적극 수용하는 '허용형', 부모의 권위를 설득하지만 자녀의 의견도 들어주는 '권위형' 부모의 양육방식이다. 또한, 독재형과 권위형이 결합한 '집약적 양육'은 아이를 푸쉬해서 성공에 이르도록 부모가 개입을 많이 하는 형으로, 중국의 타이거 마더와 미국의 헬리콥터 맘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 집약적 양육형에 한국의 경우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아이의 양육을 결정하는 부모의 태도에 대한 거의 모든 요인을 다루는데, 다양한 데이터와 논문이나 저서를 인용한다. 두 저자가 도달한 결론을 간단히 정리해 보자. 먼저, 시대별로 볼 때 과거에서 현대로 오며 부모 양육의 경향은 '독재형'에서 '권위형'으로 나아가고 있다. 둘째, 국가별로는 가난한 나라에는 '독재형'의 부모가 많고, 부유한 나라에는 '권위형'이나 '허용형'이 많다. 세째, 종교적으로, 종교가 없거나 불교를 믿는 부모가 '허용형'일 가능성이 많고, 무슬림을 믿는 부모는 '독재형'인 경향이 있다. 네째, 정치적으로 보수주의 부모가 좀더 '독재형'인 경향이 있다. 다섯째, 자녀의 성별에 따른 불평등과 차별이 심하게 나타나는 곳은 개도국이다. 여섯째, 출산율에 있어서, 부모가 자녀의 교육에 더 많이 투자하고 자녀의 노동이 가계소득에 덜 의존하게 되면 출산율이 급격히 떨어진다. 개도국은 출산율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는 반면, 선진국은 그 반대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일곱째, 역사적으로 계급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넘어가며 인내와 근면을 중시하는 중류층이 부상하다가, 현대로 오며 계층간의 이동이 저하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시스템과 시험제도는 나라별로 차이가 있지만, 인생에서 중요한 결정을 짓는 시험이 있는 경우에는 부모들은 공통적으로 '집약적 양육'의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경제학적 접근은 부모의 양육 행동을 결정하는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지, 사회과학자들처럼 부모들에게 이래야한다는 지침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고 강조한다. 그러나, 저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비판적인 시각으로 책을 읽다보면, 좋고 나쁜 부모의 양육 모습을 알 수 있고, 개인의 노력으로 바꾸기 힘든 사회구조에 대해 회의가 든다. 심지어 스위스와 같은 복지국가에서도 인생을 결정짓는 한 번의 시험앞에서는 아이를 푸쉬하는 부모의 모습이 그렇다. 과연 현재 사회의 구조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상태에서 정책조정만으로 밝은 미래를 기대하는 것이 옳은지 의문이다.

두 경제학자가 논문을 바탕으로 저술을 결심해서 만든 책이라 문체가 딱딱하고 학술적인 데이터가 많은 편이다. 결론에 도달하기까지 다양한 데이터를 가지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분석방법을 이용한다. PISA, NLSY97, 세계가치관조사 등과 같은 자료들이 제시된다. 그렇다고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재미보다는 정보를 전달하는데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는 책이라고 할 수있다. 이 책은 교육분야에 있거나 정책결정을 하는 사람들이 꼭 읽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