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편집자처럼 책을 보고 책을 쓰다 - 차별화된 기획을 위한 편집자들의 책 관찰법
박보영.김효선 지음 / 예미 / 2020년 3월
평점 :
수많은 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나도 한번 책을 써볼까? 내 책을 낸다면 출판사의 편집자들은 무슨 일을 하나? 책을 쓰려면 남이 쓴 책을 많이 읽어야한다는데 어떻게 읽어야 효과적일까? 이러한 의문이 있다면 이 책을 읽어보면 좋겠다.
책은 3부로 구성되어있다. 1부는 예비저자들이 책을 출판하기 위해 시중에 나와 있는 많은 책들을 표지부터 본문까지 어떻게 편집자의 입장에서 관찰해야하는지를, 2부는 본격적으로 어떻게 쓸지를, 3부는 쓰기 위해 어떻게 읽어야할지를 설명한다.
출판사 편집자들은 많은 책후보 중에서 좋은 책을 선별해 독자들에게 소개시켜주는 냉정한 프로들이다. 그들이 책을 고르는 좋은 책은 독자가 좋아할 책이다. 책을 읽는 인구가 적은 우리나라에서 책을 내고자하는 사람들이 많다.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것이다. 당연히 자신의 책을 선택해줄 소비자인 독자의 마음에 들어야 좋은 책이라는 저자의 논리에 일리가 있다.
책의 분위기는 단도직입적이고 분명하다. 책을 내기 위해 걸리는 소요시간을 에둘러 말하지 않고, 기획-초고집필-출판사 제작기간으로 구분하여 약1년정도라고 분명히 알려준다. 매력적인 글은 설득조보다 대화체를 이용하면 생동감있다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기획안을 투고하고 출판사로부터 애매하게 '원고는 맘에 드는데 윤문이 필요할 것 같다'라는 말을 들으면, 아이템은 합격점이나 원고가 거칠어서 구성작가에게 맡기면(비용은 작가부담) 어떻게냐는 의미라고 알려준다. 무엇보다 내 책을 잘 팔기위해 마케팅을 출판사에만 맡기지 말고, 저자강연, SNS와 유튜브 소통까지 작가가 활발한 활동을 해야함을 알려준다.
이 책은 글쓰고 출판하는 일에 오래 종사한 저자들의 조언으로 가득차 있으므로 언젠가 내 책을 출판하기를 희망하는 사람이라면 관심있게 읽을 만하다. 어렵지 않고 쉽게 읽을 수 있다. 또한 3부의 책 읽는 방법도 간략하지만 핵심을 잘 정리하고 있어서 책을 읽고 오래 기억하는 방법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